아스타 코인 (ASTR) 분석하였습니다. ASTR 개념, 시세 차트, 거래가능한 거래소 뿐만 아니라 아스타 코인의 연도별 주요 이슈까지 모두 알아보겠습니다.
아스타 코인 (ASTR) 시세 차트
시가총액
아스타 코인 (ASTR) 시가총액 및 순위는 실시간 반영됩니다.
항목 | 내용 |
---|---|
시가총액 | $176,964,903 |
시총 순위 | 298위 |
바이낸스 차트
아스타 코인(ASTR)은 바이낸스에 상장되어 있으며, ASTR/USDT 차트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업비트 차트
아스타 코인(ASTR)은 업비트에 상장되어 있으며, ASTR/KRW 차트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스타 코인 (ASTR) 거래소
아스타 코인 거래소
아스타 코인 (ASTR)을 거래 가능한 거래소 리스트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고 있습니다.
- KRW 또는 USDT로 가능한 거래소들만 나열하였습니다.
- 거래량이 많은 거래소부터 순서대로 TOP 20까지 정리했습니다.
거래소 | 거래 마켓 | 거래 링크 |
---|---|---|
Bitrue | ASTR3S/USDT | 이동 |
![]() |
ASTR/USDT | 이동 |
![]() |
ASTR/USDT | 이동 |
LBank | ASTR/USDT | 이동 |
![]() |
ASTR/KRW | 이동 |
MEXC | ASTR/USDT | 이동 |
Gate | ASTR/USDT | 이동 |
CoinW | ASTR/USDT | 이동 |
Hotcoin | ASTR/USDT | 이동 |
WhiteBIT | ASTR/USDT | 이동 |
BitMart | ASTR/USDT | 이동 |
XT.COM | ASTR/USDT | 이동 |
Tapbit | ASTR/USDT | 이동 |
BVOX | ASTR/USDT | 이동 |
![]() |
ASTR/USDT | 이동 |
![]() |
ASTR/KRW | 이동 |
Ourbit | ASTR/USDT | 이동 |
![]() |
ASTR/USDT | 이동 |
BYDFi | ASTR/USDT | 이동 |
Pionex | ASTR/USDT | 이동 |
거래소 상장/상폐 이력
아스타 코인 (ASTR)의 상장 및 상장 폐지 시기를 아래 표에 정리했습니다.
- 거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많은 이용자들이 신뢰하는 한국 및 글로벌 주요 거래소를 기준으로 정리하였습니다.
- 이들 거래소에서의 상장 및 폐지 여부는 해당 암호화폐의 실제 거래량과 시장 내 영향력을 보다 정확하게 보여줍니다.
거래소 | 상장시기 | 상장폐지 시기 |
---|---|---|
업비트 | 2023/12/18 | – |
빗썸 | 2023/09/21 | – |
코인베이스 | – | – |
크라켄 | – | – |
바이낸스 | 2022/04/22 | – |
바이비트 | – | – |
비트겟 | – | – |
OKX | 2025/03/25 | – |
아스타 코인 (ASTR) 주요 이슈
아스타 코인의 출시 이후 현재까지의 주요 이슈를 정리하였습니다.
이러한 이슈들을 살펴보면, 암호화폐 가격의 흐름이나 프로젝트의 안정성과 성장 가능성을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연도별 주요 이슈 요약
연도 | 주요이슈 |
---|---|
2019 | – 01월: Sota Watanabe에 의해 ‘Plasm Network’로 설립 – 02월: 초기 시드펀딩 $240만 유치 – Polkadot 생태계에서 Layer‑2 스마트컨트랙트 플랫폼 개발 시작 |
2021 | – 06월: Plasm Network → Astar Network로 리브랜딩 – 09월: Polkadot 첫 parachain 슬롯 경매에서 낙찰 – dApp Staking v1 시스템 도입 |
2022 | – 01/17: 메인넷 정식 출시, 폴카닷 parachain으로 운영 개시 – 01월: Polychain 리드 $2,200만 펀딩 라운드 완료 – 03월: 알케미 및 다양한 파트너와 협력 확대 |
2023 | – 06월: ‘Astar 2.0 Vision’ 발표 – 소비재·엔터테인먼트 중심 dApp 확대 추진 |
2024 | – 03월: zkEVM 메인넷 출시, Yoki Origins 론칭 – 06월: 3.5억 ASTR 토큰 소각 거버넌스 통과 – 06월: Startale과 합병 → ‘Astar Evolution’ 전략 시작 – 11월: Evolution Phase 1.5 발표 → Soneium 포함 생태계 확장 |
2025 | – 12월 예정: Soneium 메인넷 상호운용성 강화 – 05월: Animoca Brands 전략적 투자 유치 – 06월: Async Backing 활성화, Chainlink CCIP 및 ERC‑7802 호환 구현 |
연도별 주요 이슈 구체적 설명
2019년: 설립 및 초기 개발
2019년 1월, Sota Watanabe가 일본 중심으로 설립한 팀은 ‘Plasm Network’라는 이름으로 Polkadot 생태계 내 확장 가능한 Layer‑2 스마트컨트랙트 허브를 목표로 출발했습니다. 같은 해 2월에는 약 240만 달러의 시드 투자를 확보하며 개발에 박차를 가했습니다. 당시 핵심은 Ethereum과 Polkadot 간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한 Optimistic VM을 개발하고, Rust 기반 ink! 언어와 WebAssembly 지원에 집중하는 것이었습니다.
2021년: 리브랜딩과 parachain 진입
2021년 6월, 프로젝트는 Plasm에서 Astar로 리브랜딩하며 멀티체인 dApp 허브로 전환을 선언했습니다. 이어서 9월, Polkadot의 첫 parachain 슬롯 경매에서 낙찰을 받아 메인넷 승인 가능성을 확보했으며, dApp Staking 시스템을 도입해 사용자가 dApp 개발자에게 직접 스테이킹하고 블록 보상을 공유하도록 설계했습니다. 이로써 개발자 생태계 활성화의 초석을 마련했습니다.
2022년: 메인넷 출시 및 대규모 펀딩
2022년 1월 17일, Astar 메인넷이 정식 가동되었고 동일한 달에 약 2,200만 달러 규모의 펀딩 라운드를 Polychain 주도로 완료했습니다. 이 라운드에는 Alameda, Crypto.com, Coinbase Ventures 등이 참여했으며, 향후 EVM/WASM 멀티-VM 기능 등 기술적 확장을 뒷받침했습니다. 이후 Alchemy와의 협력 등 글로벌 파트너십이 빠르게 확장되기 시작했습니다.
2023년: 2.0 비전과 생태계 확장
2023년 6월 ‘Astar 2.0 Vision’이 공개되며 단순 Polkadot 플랫폼을 넘어 다양한 디앱, 특히 소비재·엔터테인먼트에 특화된 서비스 확장을 목표로 선언했습니다. 이 시기를 통해 일본 내 기업 및 금융권과의 협업이 본격화되었으며, dApp 중심 스테이킹 보상을 통한 참여형 생태계 구축에 박차를 가했습니다.
2024년: 기술 고도화와 진화 단계 진입
2024년 3월, Astar zkEVM 메인넷이 정식 출시되고 Yoki Origins와 같은 dApp이 론칭되었습니다. 6월에는 거버넌스 투표를 통해 3.5억 ASTR 토큰 소각이 결정되며 초기 인플레이션 조정에 나섰습니다. 같은 달 Startale과 공식적으로 합병하며 ‘Astar Evolution’ 전략을 시작했습니다. 11월에는 Phase 1.5 발표를 통해 Soneium(소니 블록 솔루션과 공동개발한 Ethereum 레이어2 체인)과의 협력 기반 생태계 확장을 선언했습니다.
2025년: 상호운용성 강화와 전략 투자
2025년 상반기에는 Soneium 메인넷 대응을 위한 기술과 거버넌스 준비를 진행 중입니다. 5월, 엔터테인먼트 및 Web3 게임 강화를 위해 Animoca Brands의 전략적 투자를 유치했습니다. 6월에는 Async Backing 메커니즘 활성화, Chainlink CCIP 및 ERC‑7802 호환을 구현하며 Cross‑chain 연동과 ASTR의 Superchain 적응성을 높였습니다. 연말 목표는 Soneium 생태계 내 ASTR 기본 이용자 유통 체계 확립입니다.
아스타 코인 (ASTR) 분석
아스타 코인(ASTR) 정보
구분 | 내용 |
---|---|
암호화폐 명칭 | ASTR (아스타 코인) |
암호화폐 유형 | 코인 (네이티브 자산) |
암호화폐 표준 | Substrate 기반 (Polkadot 호환) |
네트워크 체인 | Astar Network (멀티체인 스마트 컨트랙트 플랫폼) |
기술기반 | Substrate 프레임워크, WASM 및 EVM 지원 |
용도 | 스마트 계약 실행, 트랜잭션 수수료 지불, 거버넌스 참여 등 |
특징 | Polkadot 파라체인으로 연결된 확장성 높은 네트워크, EVM 및 WASM 이중 가상 머신 지원, dApp staking 보상 시스템 운영 |
아스타 코인이란?
아스타 코인(ASTR)이란 아스타 네트워크(Astar Network)에서 사용되는 네이티브 유틸리티 코인으로, 멀티체인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을 지원하는 생태계의 핵심 자산입니다.
ASTR는 코인인가? 토큰인가?
ASTR는 기술적으로는 아스타 네트워크의 네이티브 자산으로서, 코인에 해당합니다.
- Astar Network는 Polkadot의 파라체인으로서 독립적인 체인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아스타 코인은 해당 체인의 기본 자산으로 발행됩니다.
코인과 토큰의 차이점이 궁금하다면 [암호화폐, 코인, 토큰의 차이점]을 참고해보세요.
아스타 코인 주요 기능
아스타 코인(ASTR)은 아스타 네트워크 생태계에서 다음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 트랜잭션 수수료 지불 : 네트워크 상의 스마트 계약 실행이나 전송에 대한 수수료를 ASTR로 지불합니다.
- dApp staking 시스템 : 사용자들은 ASTR를 스테이킹하여 자신이 지지하는 dApp 프로젝트에 기여하고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거버넌스 참여 : 코인 보유자는 네트워크 제안에 투표하며, 프로토콜의 방향을 결정하는 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스마트 계약 연료 : ASTR는 EVM 및 WASM 기반 스마트 계약 구동에 필요한 연료로 사용됩니다.
- 생태계 활성화 : Astar 생태계에서 ASTR는 개발자 및 프로젝트 팀에 대한 보상, 인센티브 자금으로도 활용됩니다.
아스타 코인 분배 비율
아스타 코인(ASTR)의 분배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분배 대상 | 비율 | 설명 |
---|---|---|
재단 및 개발자 | 30% | Astar 개발 및 생태계 확장 기여자 보상 |
크라우드론 참여자 | 20% | Polkadot 파라체인 경매 참여에 따른 보상 |
퍼블릭 세일 | 10% | 공개 시장에서의 유통 |
초기 투자자 | 15% | 전략적 파트너 및 VC 투자자 배분 |
커뮤니티 리워드 | 25% | 사용자 참여 및 커뮤니티 활동 보상 |
아스타 네트워크(Astar Network) 분석
아스타 네트워크 (Astar Network) 정보
구분 | 내용 |
---|---|
블록체인 네트워크 | Astar Network (Parachain) Polkadot (Layer 0) |
프로토콜/dApp/플랫폼 유형 | EVM & WASM 스마트 계약 플랫폼, dApp 스테이킹 지원 |
암호화폐 명칭 | ASTR (아스타 코인) |
개발사 | Startale Labs / Astar Foundation |
설립자 | 사타 와타나베 (Sota Watanabe) |
설립 연도 | 2019년 |
본사 위치 | 싱가포르 |
- 원문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Polkadot의 parachain으로서 EVM 및 WASM 스마트 계약을 지원합니다.
- dApp 스테이킹 시스템을 통해 개발자 및 사용자에게 ASTR 보상을 제공합니다.
아스타 네트워크란?
Astar Network는 2022년 1월 17일 메인넷을 개시했으며, 원래는 Plasm Network라는 이름이었습니다. Polkadot 생태계 안에서 스마트 계약 허브 역할을 수행하며 Ethereum 기반 dApp의 수월한 이전을 돕습니다.
- Rust 언어로 개발되었으며, GNU GPL 라이센스를 따릅니다.
- dApp 스테이킹은 네트워크 참여자에게 직접적인 보상을 제공하는 메커니즘입니다.
- Astar 포털을 통해 자산 관리, dApp 스테이킹 등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
주요 특징 및 생태계
- EVM & WASM 스마트 계약 호환성: Ethereum 기반 dApp을 쉽게 이동 및 실행할 수 있습니다.
- dApp 스테이킹 보상 프로그램: 개발자 및 사용자가 ASTR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기업 및 공공 협력: 일본 항공사(JR), 캐시오, 소니 등 다양한 기관과 협력 중입니다.
- Soneium 연계: Astar zkEVM을 Sony 연합 L2인 Soneium으로 전환하는 ‘Astar Evolution’ 단계 진행 중입니다.
왜 중요한가?
- Polkadot parachain 구조를 통해 확장성과 상호운용성을 확보해, 멀티체인 dApp 환경을 제공합니다.
- dApp 스테이킹을 통한 보상 시스템은 Web3 생태계 활성화에 긍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 일본 및 아시아 시장에서 기업·기관과 협력하며 실사용 사례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아스타 코인 개발진 정보
설립자
설립자 | 이력 |
---|---|
Sota Watanabe | – 2019년: Plasm Network (현재 Astar Network) 설립 후 CEO 취임 – 2021년: 프로젝트 Plasm에서 Astar Network로 리브랜딩 – 2022년: Forbes 30 Under 30 Asia & Japan 선정 – 2022–2023년: 일본 블록체인협회 ‘Person of the Year’ 연속 수상 – 2022년: Binance US 상장 추진, GMO 및 Dentsu 고문 역임 – 2023년: Sony Block Solutions Labs와 공동 벤처인 Soneium 구축 시작 – 2025년: Animoca Brands 전략적 투자 라운드 주도 – 현재: Astar 및 Soneium 생태계 운영 및 확장 주도 |
고문
고문 | 이력 |
---|---|
GMO, Dentsu | – 2022년: Sota Watanabe, GMO 및 Dentsu 고문으로 활동 시작 – 이후: 일본 내 웹3 정책 및 기업 연계 자문 지속 – 현재: Astar 네트워크 성장 전략에 대한 자문 역할 수행 |
아스타 네트워크 투자 유치 포트폴리오
아스타 네트워크는 약 4,480만 달러 규모의 투자 유치에 성공하였습니다.
아스타 네트워크 투자사 리스트는 아래 표와 같습니다.
투자사 | 설명 |
---|---|
Animoca Brands | 2025년 5월 전략적 라운드에 참여, 일본 및 아시아 Web3 엔터테인먼트 확장 지원. |
Polychain Capital | 2022년 1월 전략적 라운드에서 리드 투자사 중 하나로 참여. |
GSR | 2022년 전략적 라운드에 참여한 글로벌 암호화폐 시장 조성자. |
Alchemy | 2022년 전략적 라운드 참여, 블록체인 개발자 인프라 기업. |
Crypto.com Capital | 사적 라운드 투자사로, Web3 프로젝트에 투자. |
Fenbushi Capital | 2021년 미공개 라운드에 리드 투자사로 참여. |
Hypersphere Ventures | 2021년 미공개 라운드 참여, 초기 블록체인 벤처 캐피탈. |
Animal Ventures | 2022년 전략적 라운드 참여. |
Scytale Digital | 사적 라운드 참여, 보안 중심 암호화폐 투자사. |
YZi Labs (전 Binance Labs) | 2021년 시리즈 A 라운드 리드, 초기 인큐베이터 투자. |
OKX Ventures | 전략적 및 사적 라운드 참여, 거래소 벤처 부문. |
Coinbase Ventures | 사적 라운드 참여, 미국 기반 Web3 프로젝트 투자사. |
아스타 커뮤니티 채널
아스타의 공식 커뮤니티와 소셜미디어 모든 채널들을 정리하였습니다.
각 채널을 통해 최신 소식과 프로젝트의 개발 현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업데이트 소식, 커뮤니티 이벤트 등 다양한 정보를 확인해보세요.
- 아래 커뮤니티에서 장기간 업데이트 사항이 없다면, 현재 개발 현황을 의심해볼수 있습니다.
- 또한, 아래 링크가 열리지 않는다면, 원래 존재하던 채널이 삭제된 것입니다. 이 역시 개발 현황에 대한 의문을 가질 수 있는 부분입니다.
공식 사이트
구분 | 접속 링크 |
---|---|
공식 웹사이트 | 바로가기 |
SNS (소셜 미디어) 채널
구분 | 접속 링크 |
---|---|
X (구 트위터) | 바로가기 |
디스코드 (Discord) | – |
텔레그램 (Telegram) | 바로가기 |
콘텐츠 미디어 채널
구분 | 접속 링크 |
---|---|
유튜브 (YouTube) | 바로가기 |
미디엄 (Medium) | 바로가기 |
아스타 코인 (ASTR) 참고사항
이 글은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어떠한 투자 권유나 금융 자문에 해당하지 않으며, 투자에 대한 최종 결정과 책임은 전적으로 본인에게 있습니다.
비트세이브(bitsave.co.kr)에서는 아스타 코인(ASTR)을 포함한 여러 암호화폐의 분석 정보를 제공합니다. 또한, 각 암호화폐 거래소 이용 가이드, 수수료 할인 혜택 정보, 레퍼럴 코드도 함께 제공하니, 꼭 참고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