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라스트 코인 (BLAST) 분석하였습니다. BLAST 개념, 시세 차트, 거래가능한 거래소 뿐만 아니라 블라스트 코인 연도별 주요 이슈까지 모두 알아보겠습니다.
블라스트 코인 (BLAST) 시세 차트
시가총액
블라스트 코인(BLAST) 시가총액 및 순위는 실시간 반영됩니다.
항목 | 내용 |
---|---|
시가총액 | $74,571,033 |
시총 순위 | 552위 |
바이비트 차트
블라스트 코인(BLAST)은 바이비트에 상장되어 있으며, BLAST/USDT 차트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업비트 차트
블라스트 코인(BLAST)은 업비트에 상장되어 있으며, BLAST/KRW 차트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블라스트 코인 (BLAST) 거래소
블라스트 코인 거래소
블라스트 코인(BLAST)을 거래 가능한 거래소 리스트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고 있습니다.
- KRW 또는 USDT로 가능한 거래소들만 나열하였습니다.
- 거래량이 많은 거래소부터 순서대로 TOP 20까지 정리했습니다.
거래소 | 거래 마켓 | 거래 링크 |
---|---|---|
LBank | BLAST/USDT | 이동 |
![]() |
BLAST/USDT | 이동 |
DigiFinex | BLAST/USDT | 이동 |
![]() |
BLAST/KRW | 이동 |
Gate | BLAST/USDT | 이동 |
Hotcoin | BLAST/USDT | 이동 |
BitMart | BLAST/USDT | 이동 |
![]() |
BLAST/USDT | 이동 |
AscendEX (BitMax) | BLAST/USDT | 이동 |
![]() |
BLAST/KRW | 이동 |
OrangeX | BLAST/USDT | 이동 |
MEXC | BLAST/USDT | 이동 |
BTSE | BLAST/USDT | 이동 |
Tapbit | BLAST/USDT | 이동 |
![]() |
BLAST/USDT | 이동 |
Bittime | BLAST/USDT | 이동 |
BVOX | BLAST/USDT | 이동 |
![]() |
BLAST/USDT | 이동 |
Hibt | BLAST/USDT | 이동 |
Phemex | BLAST/USDT | 이동 |
거래소 상장/상폐 이력
블라스트 코인(BLAST)의 상장 및 상장 폐지 시기를 아래 표에 정리했습니다.
- 거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많은 이용자들이 신뢰하는 한국 및 글로벌 주요 거래소를 기준으로 정리하였습니다.
- 이들 거래소에서의 상장 및 폐지 여부는 해당 코인 실제 거래량과 시장 내 영향력을 보다 정확하게 보여줍니다.
거래소 | 상장시기 | 상장폐지 시기 |
---|---|---|
업비트 | 24/06/26 | – |
빗썸 | 24/06/26 | – |
코인베이스 | – | – |
크라켄 | – | – |
바이낸스 | – | – |
바이비트 | 24/06/26 | – |
비트겟 | 24/06/26 | – |
OKX | – | – |
블라스트 코인 (BLAST) 주요 이슈
블라스트 코인의 상장 이후 현재까지의 주요 이슈를 정리하였습니다.
이러한 이슈들을 살펴보면, 코인 가격의 흐름이나 프로젝트의 안정성과 성장 가능성을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연도별 주요 이슈 요약
연도 | 주요이슈 |
---|---|
2023 |
– 11월: 블라스트(Blast) 프로젝트 공개 및 초기 브릿지 개시
– 출금 불가 단방향 브릿지 운영으로 커뮤니티 내 논란 발생 – Paradigm 등 주요 VC로부터 2천만 달러 투자 유치 |
2024 |
– 02/29: 메인넷 정식 출시, 예치 자산 출금 가능화
– 06/26: BLAST 코인 에어드랍 실시 (총 공급량의 17% 배포) – 네이티브 일드 모델 도입으로 ETH 및 스테이블토큰 예치 시 자동 수익 제공 |
연도별 주요 이슈 구체적 설명
2023년: 프로젝트 공개와 초기 논란
2023년 11월, 블러(Blur)의 창립자인 팩맨(Tieshun Roquerre)이 주도하는 이더리움 기반 레이어2 프로젝트 블라스트(Blast)가 공개되었습니다. 블라스트는 옵티미스틱 롤업 기술을 기반으로 하며, ETH 및 스테이블토큰 예치 시 자동으로 수익을 제공하는 ‘네이티브 일드(Native Yield)’ 모델을 도입하여 주목받았습니다. 그러나 메인넷 출시 전까지 출금이 불가능한 단방향 브릿지를 운영하면서 커뮤니티 내에서 자산 안전성 및 중앙화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Paradigm, Standard Crypto 등 주요 벤처 캐피탈로부터 총 2천만 달러의 투자를 유치하며 생태계 확장 기반을 마련하였습니다.
2024년: 메인넷 출시와 생태계 확장
2024년 2월 29일, 블라스트는 메인넷을 정식 출시하며 예치된 자산의 출금을 가능하게 하였습니다. 메인넷 출시와 함께 블라스트는 ETH 및 스테이블토큰 예치 시 자동으로 수익을 제공하는 네이티브 일드 모델을 본격 도입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별도의 스테이킹 절차 없이도 자산을 예치하는 것만으로 수익을 얻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6월 26일에는 총 공급량의 17%에 해당하는 BLAST 코인의 에어드랍이 실시되었으며, 초기 사용자 및 디앱 기여자에게 보상이 제공되었습니다. 이러한 일련의 조치들은 블라스트 생태계의 빠른 확장과 사용자 기반 확보에 기여하였습니다.
블라스트 코인 (BLAST) 분석
블라스트 코인(BLAST) 정보
구분 | 내용 |
---|---|
암호화폐 명칭 | BLAST (블라스트 코인) |
암호화폐 유형 | 토큰 (ERC-20 기반) |
암호화폐 표준 | ERC-20 (이더리움 호환) |
네트워크 체인 | Blast (이더리움 레이어 2 확장 솔루션) |
기술기반 | Optimistic Rollup, EVM 호환 |
용도 | 거버넌스 참여, 스테이킹, 거래 수수료 지불, 생태계 보상 등 |
특징 | 네이티브 이자 발생 기능 제공 (ETH 4%, 스테이블코인 5%), 자동 리베이싱 메커니즘, 커뮤니티 중심의 거버넌스 구조 |
블라스트 코인이란?
블라스트 코인(BLAST)은 블라스트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네이티브 유틸리티 토큰으로, 이더리움 기반의 레이어 2 확장 솔루션인 블라스트 네트워크의 핵심 자산입니다.
BLAST는 코인인가? 토큰인가?
BLAST는 한국에서 ‘블라스트 코인’으로 불리지만, 기술적으로는 ‘코인’이 아닌 ‘토큰’에 해당합니다.
- BLAST는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발행된 ERC-20 유틸리티 토큰입니다.
- 자체 독립 블록체인이 아닌 플랫폼 상에서 발행된 자산이므로, 코인이 아닌 토큰에 해당합니다.
코인과 토큰의 차이점이 궁금하다면 [암호화폐, 코인, 토큰의 차이점]을 참고해보세요.
블라스트 코인 주요 기능
블라스트 코인(BLAST)은 블라스트 네트워크 생태계에서 다음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 거버넌스 참여 : BLAST 보유자는 네트워크의 정책, 업그레이드, 수수료 구조 등에 대해 투표에 참여할 수 있어 탈중앙화된 운영이 가능합니다.
- 스테이킹 및 보상 : BLAST를 스테이킹하여 네트워크의 보안성과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기여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보상으로 추가 토큰을 획득할 수 있습니다.
- 거래 수수료 지불 : 블라스트 네트워크 내에서 발생하는 거래의 수수료를 BLAST로 지불할 수 있습니다.
- 생태계 보상 : 블라스트 네트워크에서 활동하는 사용자와 개발자에게 BLAST를 보상으로 제공합니다.
블라스트 코인 분배 비율
블라스트 코인(BLAST)의 분배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분배 대상 | 비율 | 설명 |
---|---|---|
커뮤니티 | 50% | 에어드롭 및 생태계 참여 보상 등 |
핵심 기여자 | 25.5% | 프로토콜 개발 및 핵심 팀 운영 |
투자자 | 16.5% | 초기 투자자 및 전략 파트너에 대한 배분 |
블라스트 재단 | 8% | 생태계 확장, 보조금, 파트너십 지원 |
블라스트 네트워크(Blast Network) 분석
블라스트 네트워크 (Blast Network) 정보
구분 | 내용 |
---|---|
블록체인 네트워크 | Blast Network (Layer 2) Ethereum (Layer 1) |
프로토콜/dApp/플랫폼 유형 | Optimistic Rollup 기반 Layer 2 |
암호화폐 명칭 | BLAST (블라스트 코인) |
개발사 | Blast Labs |
설립자 | Tieshun Roquerre (Pacman) |
설립 연도 | 2024년 |
본사 위치 | 미국 |
- 블록체인 네트워크란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처럼 합의 알고리즘과 P2P 네트워크를 통해 트랜잭션을 처리하고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독립적인 분산 원장 인프라를 말합니다. 이 네트워크는 자체 네이티브 코인을 보유하며 전체 시스템의 신뢰성과 보안을 기술적으로 유지합니다.
- 프로토콜은 이러한 네트워크가 어떤 방식으로 동작하는지를 정의한 기술 사양의 집합으로, 코인의 발행, 검증, 전송, 수수료 구조 등 모든 로직이 여기에 포함됩니다.
블라스트 네트워크란?
블라스트 네트워크(Blast Network)는 이더리움 기반의 Layer 2 확장 솔루션으로, Optimistic Rollup 기술을 활용하여 거래 속도와 확장성을 향상시킵니다. 이 네트워크는 ETH 및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네이티브 수익률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스테이킹 없이도 자산을 보유하는 것만으로 수익을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 ETH의 경우 연 4%, 스테이블코인의 경우 연 5%의 기본 수익률을 제공합니다.
- 이러한 수익은 이더리움의 스테이킹 및 실물 자산(RWA) 프로토콜을 통해 생성되며, 자동으로 사용자에게 분배됩니다.
- 블라스트 네트워크는 EVM(Ethereum Virtual Machine)과 호환되어, 기존 이더리움 기반 dApp을 쉽게 이전하거나 통합할 수 있습니다.
블라스트 네트워크는 이러한 기능을 통해 사용자와 개발자 모두에게 매력적인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출처: 블라스트 네트워크]
블라스트 네트워크 주요 특징 : 네이티브 수익률과 개발자 인센티브
블라스트 네트워크는 독특한 수익률 구조와 개발자 인센티브 모델을 통해 차별화된 Layer 2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자동 리베이싱(Auto Rebasing)
블라스트 네트워크에서는 ETH 및 USDB(블라스트의 네이티브 스테이블코인)가 자동으로 리베이싱되어, 사용자 지갑의 잔액이 자동으로 증가합니다.
- 사용자는 별도의 스테이킹이나 프로토콜 참여 없이도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 스마트 계약은 이 리베이싱 기능에 옵트인하거나 옵트아웃할 수 있어, 기존 dApp과의 호환성이 높습니다.
가스 수수료 수익 공유
블라스트 네트워크는 발생한 가스 수수료의 순수익을 dApp 개발자에게 프로그램적으로 분배합니다.
- 개발자는 이 수익을 직접 수령하거나, 사용자에게 가스 수수료를 보조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이러한 모델은 개발자에게 새로운 수익원을 제공하며, 사용자에게는 더 낮은 수수료를 제공합니다.
확장성과 효율성
Optimistic Rollup 기술을 활용하여 거래를 오프체인에서 처리한 후, 이더리움 메인넷에 데이터를 게시함으로써 확장성과 보안을 동시에 확보합니다.
- 거래 처리 속도가 향상되고, 수수료가 낮아집니다.
- 이더리움 메인넷의 보안을 유지하면서도, 더 많은 거래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왜 블라스트 네트워크가 중요한가?
- 이더리움 기반 Layer 2 솔루션 중 유일하게 ETH 및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네이티브 수익률을 제공합니다.
- 자동 리베이싱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별도의 조치 없이도 자산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 개발자에게 가스 수수료 수익을 공유하여, dApp 개발을 장려하고 생태계 성장을 촉진합니다.
- Optimistic Rollup 기술을 활용하여 확장성과 보안을 동시에 확보하며, EVM과의 호환성으로 기존 dApp의 이전이 용이합니다.
블라스트 개발진 정보
설립자
설립자 | 이력 |
---|---|
Tieshun Roquerre (Pacman) | – 2014년: 고등학교를 중퇴하고 Teespring에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근무 – 2015년: StrongIntro 설립 및 Y Combinator 참가 – 2016년: MIT 입학, 수학 및 컴퓨터 과학 전공 – 2018년: MIT 중퇴 후 Namebase 설립 – 2019년: Thiel Fellowship 수혜 – 2021년: Namebase를 Namecheap에 매각 – 2022년: NFT 마켓플레이스 Blur 공동 설립 – 2023년: 블라스트 네트워크(Blast Network) 설립 – 현재: Stealth 스타트업 CEO로 활동 중 |
블라스트 네트워크 투자 유치 포트폴리오
블라스트 네트워크는 약 2,000만 달러 규모의 투자 유치에 성공하였습니다.
블라스트 투자사 리스트는 아래 표와 같습니다.
투자사 | 설명 |
---|---|
Paradigm |
암호화폐 및 Web3 분야에 특화된 미국의 대표적인 벤처 캐피탈로, 초기 단계 프로젝트에 적극 투자.
|
Standard Crypto |
암호화폐 및 블록체인 기술에 집중하는 벤처 캐피탈로, 다양한 Web3 프로젝트에 투자.
|
eGirl Capital |
탈중앙화 금융(DeFi) 및 NFT 분야에 활발히 투자하는 벤처 캐피탈로, 커뮤니티 중심의 프로젝트를 지원.
|
Manifold Trading |
암호화폐 시장에서의 고빈도 거래 및 투자 전략을 전문으로 하는 벤처 캐피탈.
|
Santiago R. Santos |
전 Coinbase Ventures 파트너로, 현재는 독립 엔젤 투자자로 활동하며 다양한 Web3 프로젝트에 참여.
|
Andrew Kang |
Mechanism Capital 공동 설립자로, DeFi 및 블록체인 인프라 분야에 집중 투자하는 엔젤 투자자.
|
Hasu |
암호화폐 연구자 및 투자자로, 다양한 블록체인 프로젝트에 대한 분석과 투자 활동을 전개.
|
Larry Cermak |
The Block의 리서치 책임자로, 암호화폐 및 블록체인 산업에 대한 깊은 통찰력을 바탕으로 투자 활동을 수행.
|
CL207 |
암호화폐 분야의 엔젤 투자자로, 초기 단계 프로젝트에 대한 지원과 커뮤니티 구축에 기여.
|
CGV |
일본에 기반을 둔 벤처 캐피탈로, 블록체인 및 Web3 기술에 대한 투자를 통해 생태계 확장에 기여.
|
블라스트 커뮤니티 채널
블라스트의 공식 커뮤니티와 소셜미디어 모든 채널들을 정리하였습니다.
각 채널을 통해 최신 소식과 프로젝트의개발 현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업데이트 소식, 커뮤니티 이벤트 등 다양한 정보를 확인해보세요.
- 아래 커뮤니티에서 장기간 업데이트 사항이 없다면, 현재 개발 현황을 의심해볼수 있습니다.
- 또한, 아래 링크가 열리지 않는다면, 원래 존재하던 채널이 삭제된 것입니다. 이 역시 개발 현황에 대한 의문을 가질 수 있는 부분입니다.
공식 사이트
구분 | 접속 링크 |
---|---|
공식 웹사이트 | 바로가기 |
SNS (소셜 미디어) 채널
구분 | 접속 링크 |
---|---|
X (구 트위터) | 바로가기 |
텔레그램 (Telegram) | – |
디스코드 (Discord) | 바로가기 |
콘텐츠 미디어 채널
구분 | 접속 링크 |
---|---|
유투브 (Youtube) | – |
미디엄 (Medium) | – |
블라스트 코인 (BLAST) 참고사항
이 글은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어떠한 투자 권유나 금융 자문에 해당하지 않으며, 투자에 대한 최종 결정과 책임은 전적으로 본인에게 있습니다.
비트세이브(bitsave.co.kr)에서는 블라스트 코인(BLAST)을 포함한 다양한 암호화폐의 분석 정보를 제공합니다. 또한, 각 암호화폐 거래소 이용 가이드, 수수료 할인 혜택 정보, 레퍼럴 코드도 함께 제공하니, 꼭 참고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