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코인, 토큰의 차이점

암호화폐, 코인, 토큰의 차이점을 알아볼께요. 암호화폐에 관심 있는 분들이라면 꼭 한 번쯤은 헷갈려봤을 용어인데요. 이 글에서는 코인과 토큰의 각 개념을 하나씩 뜯어보며 구체적인 예시와 함께 설명드리겠습니다.

암호화폐 개념 및 종류

암호화폐란?

암호화폐

암호화폐(Cryptocurrency)는 암호 기술(Cryptography)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자산(Digital Asset)으로, 기존의 은행이나 정부와 같은 중앙 기관 없이도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거래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대부분의 암호화폐는 블록체인(Blockchain)이라는 분산 원장 기술을 사용하여 거래 내역을 기록하고 검증합니다.

 

암호화폐 종류

암호화폐는 코인(Coin)과 토큰(Token)으로 분류됩니다. 이 둘은 사용 기술과 운영 방식에서 중요한 차이를 가집니다.

유형 설명 예시
코인 (Coin) 자체 블록체인 위에서 운영되는 암호화폐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솔라나(SOL)
토큰 (Token) 다른 블록체인 위에서 스마트 계약을 통해 발행된 암호화폐
유니스왑(UNI), 체인링크(LINK), USDT
  • 코인과 토큰의 차이점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아래에서 다뤄보겠습니다.

 

암호화폐의 핵심 특징

분산형 시스템 (Decentralized Network)

암호화폐는 중앙 서버나 중개 기관 없이 P2P(peer-to-peer) 네트워크를 통해 작동합니다. 모든 참여자는 거래 정보를 공유하고 블록을 검증하며, 이는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실현됩니다.

투명성 (Transparency)

대부분의 암호화폐는 퍼블릭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며, 누구나 거래 기록을 열람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거래 내역이 공개되고, 조작이나 부정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변조 불가성 (Immutability)

거래 기록은 암호학적 해시 함수를 통해 블록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전 블록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한 번 기록된 거래는 사실상 수정이나 삭제가 불가능합니다. 이는 블록체인의 불가역성(irreversibility)을 의미하며, 해킹이나 위·변조를 극도로 어렵게 만듭니다.

디지털 희소성 (Digital Scarcity)

많은 암호화폐는 발행량에 제한이 있어 희소성(scarcity)을 가집니다. 예를 들어, 비트코인은 총 발행량이 2,100만 개로 고정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제한된 공급은 암호화폐가 가치 저장 수단(Store of Value)으로 평가받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글로벌 접근성 (Global Accessibility)

인터넷만 있다면 누구나 지리적 제약 없이 암호화폐를 보내고 받을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금융 인프라가 부족한 지역에서도 경제 활동이 가능해지는 금융 포용성(financial inclusion)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코인과 토큰의 개념 차이점

코인과 토큰의 차이점 요약

암호화폐 비교

코인과 토큰의 기반 블록체인, 발행 방식, 개발 난이도, 수수료, 보안 구조와 같이 기술적·시스템적 관점에서의 차이점을 정리하였습니다.

구분 코인
(Coin)
토큰
(Token)
정의 자체 블록체인을 가진 암호화폐
다른 블록체인 위에서 발행된 암호화폐
블록체인 자체 블록체인 보유
타인의 블록체인 활용 (예: 이더리움)
발행 방식 블록체인 직접 개발 필요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으로 발행
개발 난이도 높음 (블록체인 직접 개발 필요) 쉬움 (기존 블록체인 기술 활용)
트랜잭션 처리 자체 네트워크 기반 스마트 계약 기반
수수료(가스비) 자체 네트워크 수수료 사용
기반 체인의 가스비 필요 (예: 이더리움)
보안 구조 자체 보안 설계 및 합의 알고리즘
기반 체인의 보안에 의존
확장성 및 제어 네트워크 구조를 직접 조정 가능
기반 체인의 한계에 영향 받음
주요 목적 디지털 화폐
프로젝트 내 다양한 역할
사용 용도 거래, 수수료 지불, 네트워크 보안 등
DApp 이용, 보상, 거버넌스, NFT, 스테이블코인 등
예시 BTC, ETH, BNB, SOL 등
USDT, UNI, AAVE, LINK 등

 

코인이란?

코인(Coin)은 독립적인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발행된 디지털 자산으로, 해당 네트워크 내에서 화폐처럼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비트코인(Bitcoin), 이더리움(Ethereum), 라이트코인(Litecoin)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 비트코인, 이더리움과 같은 여러 코인들에 대해 공부하고 싶다면 [코인 분석]을 확인해보세요.

각 코인은 고유의 블록체인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며, 블록체인의 핵심 요소로 작동합니다. 따라서 코인을 만든다는 것은 새로운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운영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비트코인은 PoW(작업증명) 방식의 자체 프로토콜을 통해 블록을 생성하고, 네트워크 참여자인 채굴자에게 코인을 보상으로 제공합니다. 이처럼 코인은 블록 생성과 트랜잭션 처리에 필요한 인센티브로 활용됩니다.

 

토큰이란?

토큰(Token)은 기존 블록체인 플랫폼(예: 이더리움) 위에서 발행된 디지털 자산입니다. 독립적인 블록체인을 만들 필요 없이, 이미 구축된 네트워크를 활용해 생성됩니다. 대표적으로 이더리움 기반의 ERC-20 토큰들이 있으며, 체인링크(LINK), 유니스왑(UNI), 샌드박스(SAND) 등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 유니스왑, 체인링크와 같은 여러 토큰들에 대해 공부하고 싶다면 [토큰 분석]을 확인해보세요.

토큰은 단순한 ‘디지털 화폐’을 넘어, 플랫폼의 기능 접근, 의사결정, 보상, 자산 표현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됩니다.

토큰은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을 통해 발행됩니다.

스마트 계약은 블록체인 위에 작성된 자동 실행 프로그램으로, 사전에 정해진 조건이 충족되면 그에 따라 자동으로 동작합니다. 예를 들어, “누군가 1이더를 전송하면, 100 XYZ 토큰을 지급한다”는 조건이 있다면, 이 거래는 사람의 개입 없이 코드에 의해 자동으로 처리됩니다. 스마트 계약은 블록체인에 저장되어 누구나 내용을 검토할 수 있고, 한 번 배포되면 임의로 수정하거나 삭제할 수 없습니다.

코인과 토큰 장단점 비교

코인과 토큰의 장단점 비교 요약

코인과 토큰의 차이

구분 코인
(Coin)
토큰
(Token)
장점 – 독립적인 블록체인 운영 가능
– 네트워크 설계 및 제어권 확보
– 자체 경제 생태계 구축
– 블록체인 개발 없이 빠른 발행 가능
– 개발 비용·시간 절감
– 기존 플랫폼의 보안과 인프라 활용
단점 – 개발 진입 장벽 높음
– 인프라 구축 및 유지 비용 큼
– 모든 문제를 자체 해결해야 함
– 기반 체인에 의존적
– 가스비를 위해 별도 코인 필요
– 확장성, 성능 한계에 영향 받음

 

코인의 장점 – 완전한 독립성과 제어권

코인은 자체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작동하는 디지털 자산이기 때문에, 해당 프로젝트는 네트워크 전체를 스스로 설계하고 운영할 수 있습니다. 이는 곧 다음과 같은 이점을 제공합니다:

네트워크 구조 및 합의 알고리즘 자유 설계

PoW(작업 증명), PoS(지분 증명), DPoS(위임 지분 증명) 등 다양한 합의 방식을 직접 선택하거나 개발할 수 있으며, 트랜잭션 처리 속도나 수수료 구조도 맞춤화할 수 있습니다.

토큰 경제 시스템 자율 설계

인플레이션 비율, 발행량 제한, 보상 정책 등 통화 정책을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어, 생태계 운영 전략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블록체인 기반 생태계 확장 가능성

플랫폼 자체가 다른 프로젝트나 DApp(탈중앙화 앱)의 기반이 될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독자적인 블록체인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이더리움이나 솔라나처럼 플랫폼 자체가 중심이 되는 사례가 대표적입니다.

 

코인의 단점 – 높은 기술 장벽과 관리 책임

코인의 가장 큰 단점은 초기 개발과 운영에 드는 기술적·자원적 부담입니다:

블록체인 개발 필요

기존의 인프라를 활용할 수 없기 때문에, 네트워크 프로토콜, 노드 운영, 보안 체계 등을 모두 처음부터 구현해야 합니다. 이는 고급 개발 역량과 많은 시간이 필요합니다.

보안 및 유지 관리 책임

블록체인이 해킹당하거나 다운되면 책임은 전적으로 프로젝트 개발자에게 있습니다. 이더리움이나 비트코인처럼 커뮤니티가 뒷받침되지 않으면, 유지비용과 리스크가 매우 큽니다.

합의 실패나 하드포크 위험

자체 체인을 유지하는 동안 합의 실패, 하드포크, 네트워크 분열 같은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 신뢰에 큰 타격을 줄 수 있습니다.

 

토큰의 장점 – 빠른 개발과 낮은 진입 장벽

토큰은 이더리움, 솔라나, 바이낸스 스마트 체인 같은 기존 블록체인 플랫폼 위에서 발행되는 자산입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실용적인 장점이 있습니다:

블록체인 개발 불필요,빠른 론칭 및 시장 진입

스마트 계약만으로 토큰을 발행할 수 있어, 별도의 체인을 만들 필요가 없습니다. 예를 들어 ERC-20 토큰은 몇 줄의 코드만으로 발행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몇 시간, 혹은 며칠 안에 프로젝트를 시작하고 토큰을 발행할 수 있으며, 개발 자원이 부족한 스타트업이나 실험적인 프로젝트에 적합합니다.

기존 생태계 활용 가능

이더리움의 경우, 이미 구축된 지갑, 거래소, 디앱과 호환성이 높아 사용성과 접근성이 뛰어납니다. 개발자는 보안이나 인프라를 일일이 신경 쓸 필요 없이 빠르게 제품을 배포할 수 있습니다.

 

토큰의 단점 – 의존성과 제한된 제어권

다만 토큰은 기반 체인의 제약을 그대로 받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한계가 존재합니다:

네트워크 문제에 대한 의존성

예를 들어 이더리움의 네트워크가 혼잡해져 가스비가 급등하면, 그 위에서 작동하는 토큰도 거래 비용이 높아지고 전송 지연이 발생합니다.

별도 가스비 필요

네트워크의 트랜잭션 비용에 의존적입니다. 사용자가 SAND(ERC-20 토큰)를 전송하려면, 실제로는 이더리움을 가스비로 지불해야 합니다. 이중 자산 관리가 필요해 사용자가 혼란을 느끼거나 번거롭게 여길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설계의 자유 부족

토큰은 블록체인 자체의 구조를 바꿀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블록 처리 속도나 수수료 정책은 플랫폼이 결정하며, 개발자는 이를 따를 수밖에 없습니다.

코인과 토큰의 기능 비교

코인과 토큰의 기능 비교 요약

코인

구분 코인
(Coin)
토큰
(Token)
주요 목적 디지털 화폐, 네트워크 운영 및 유지
특정 프로젝트 내 유틸리티, 권리, 자산 기능 수행
결제 수단 있음 (예: BTC, LTC로 송금/결제)
플랫폼 내에서 제한적 사용 가능
수수료 지불 있음 (예: ETH 가스비)
없음 (단, 전송 시 기반 코인의 가스비 필요)
검증 보상 수단 있음 (채굴자/검증자 보상 및 네트워크 유지)
없음 (기반 네트워크의 보안에 의존)
거버넌스 참여 제한적 또는 없음 (예: 비트코인은 해당 없음)
있음 (예: UNI, AAVE로 정책 투표 참여 가능)
스마트 계약 실행 일부 코인은 디앱과 스마트 계약 실행 기능 포함 (예: ETH)
있음 (예: 조건 만족 시 토큰 지급 등)
투자·자산화 기능 없음 (순수 화폐 기능 중심) 있음 (STO, NFT 등 자산화 및 소유권 기능 포함)

 

코인의 기능: 디지털 화폐이자 네트워크 유지 수단

코인은 주로 디지털 화폐처럼 작동하며, 그 자체로 네트워크의 핵심 자산입니다.

즉, 자체 블록체인에서 트랜잭션을 처리하고, 블록 생성자(채굴자 또는 검증자)에게 보상을 주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결제 및 송금

비트코인은 가장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은행 없이도 전 세계로 빠르게 송금할 수 있는 수단으로 활용됩니다. 엘살바도르에서는 법정화폐로도 채택됐죠.

네트워크 운영 수수료

이더리움(ETH)은 단순한 화폐 기능 외에도, 디앱(DApp)을 실행하거나 스마트 계약을 작동시키는 데 필요한 ‘가스비’로 사용됩니다. 사용자가 토큰을 전송하거나 NFT를 발행할 때도 ETH가 소모됩니다.

보안 유지와 보상

비트코인, 라이트코인 등의 코인은 네트워크 참여자(채굴자/검증자)에게 트랜잭션 수수료와 신규 발행 코인을 보상으로 제공하며, 이를 통해 네트워크를 유지하고 보호합니다.

 

토큰의 기능: 다양한 목적에 맞춘 디지털 자산

토큰은 특정 프로젝트나 서비스 안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블록체인 위에 스마트 계약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목적에 따라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토큰은 굉장히 다양하고, 심지어 하나의 프로젝트 안에서도 여러 종류의 토큰이 혼재될 수 있어요.

유틸리티 토큰 (Utility Token)

플랫폼 내 서비스 사용, 결제, 접근 권한 등에 사용되는 실용적 목적의 토큰입니다. (기능 : 수수료 할인, 콘텐츠 접근, 기능 사용 등)

  • BNB – 바이낸스에서 수수료 할인, 런치패드 참여
  • BAT – 브레이브 브라우저 내 광고 보상 및 크리에이터 후원
  • SAND – 샌드박스 게임 내 자산 구매 및 활동에 사용

보상형 토큰 (Reward Token)

사용자나 네트워크 참여자에게 행동에 대한 인센티브로 지급되는 토큰입니다. (기능: 활동 보상, 참여 유도, 생태계 활성화)

  • GMT (STEPN) – 걷기/달리기 등 활동 보상
  • MATIC (Polygon) – 트랜잭션 처리 기여 보상
  • AXS (Axie Infinity) – 게임 플레이 및 배틀 보상

거버넌스 토큰 (Governance Token)

플랫폼 운영이나 정책 결정에 투표 참여 권한을 부여하는 토큰입니다. (기능: 커뮤니티 기반 의사결정, 탈중앙화 거버넌스 구현)

  • UNI (Uniswap) – 유니스왑 기능 변경, 수수료 구조 투표
  • AAVE – 대출 프로토콜의 파라미터 변경 등 정책 제안/투표
  • COMP (Compound) – 이자율 조정 등 생태계 운영 참여

보안형 토큰 (Security Token)

현실 자산(주식, 부동산, 채권 등)과 연동되어, 투자성과 법적 권리를 부여하는 토큰입니다. (기능: 배당 수익, 소유 지분, 법적 권리 보유)

  • STO 기반 부동산 토큰 – 건물 지분을 토큰화해 배당 수익 지급
  • tZERO – 주식처럼 기능하는 증권형 토큰
  • RealT – 미국 부동산을 기반으로 한 월세 수익 배당 토큰

NFT (Non-Fungible Token)

고유한 디지털 자산으로, 서로 대체되지 않으며 소유권을 나타내는 토큰입니다. (기능: 소유권 인증, 희소성 부여, 수집 및 거래)

  • CryptoPunks, BAYC – 디지털 아트와 컬렉션
  • Sorare – 고유한 선수 카드 보유/거래
  • Decentraland의 LAND – 가상 부동산 소유권

결제형 토큰 (Payment Token)

상품 또는 서비스의 결제 수단으로 사용되는 토큰입니다. (기능: 지불, 정산, 플랫폼 내 거래)

  • USDT, USDC – 스테이블코인으로서 전자상거래 및 디앱 내 결제
  • DAI – 담보 기반 스테이블코인, 탈중앙 금융에서 결제 및 대출

자산 연동형 토큰 (Asset-backed Token)

현실 자산의 가치를 블록체인에 디지털로 반영한 토큰입니다. (기능: 금, 원자재, 법정화폐 등 실물 자산을 디지털로 표현)

  • PAXG – 실제 금 1온스와 1:1로 연동
  • Tether Gold (XAUT) – 금 보관소 기반 토큰
  • USDT/USDC – 달러에 연동된 스테이블코인 (법정화폐 기반)

코인과 토큰의 자금조달 및 유통방식 비교

코인과 토큰의 자금조달 및 유통방식 비교 요약

토큰

구분 코인
(Coin)
토큰
(Token)
자금 조달 방식 네트워크 참여 보상 (채굴, 스테이킹)
초기 판매 (ICO, IEO, IDO 등)
유통 방식 채굴 또는 스테이킹을 통한 점진적 유입
에어드랍, 보상, 마케팅 등 다양한 방식으로 유통됨

 

자금 조달 방식 비교

코인 (Coin)

코인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의 운영과 보안 유지에 기여한 대가로 생성되며, 별도의 초기 판매를 통해 자금을 조달하지 않습니다.

  • 채굴(Mining): 작업증명(PoW) 기반 네트워크에서는 컴퓨팅 자원을 제공하여 블록을 생성한 참여자에게 코인을 보상으로 지급합니다.
  • 스테이킹(Staking): 지분증명(PoS) 기반 네트워크에서는 일정량의 코인을 예치한 참여자가 블록 생성에 참여하고, 그 대가로 보상을 받습니다.
  • 네트워크 수수료: 이더리움의 가스비처럼, 네트워크 사용 시 발생하는 수수료가 코인 보유자나 검증자에게 수익으로 돌아갑니다.

토큰 (Token)

토큰은 주로 프로젝트의 초기 자금 조달 수단으로 활용되며, 다양한 판매 방식을 통해 투자자들에게 배포됩니다.

  • ICO (Initial Coin Offering): 프로젝트가 자체 플랫폼에서 토큰을 판매하여 자금을 조달하는 방식으로, 규제가 비교적 적고 빠르게 자금을 모을 수 있습니다.
  • IEO (Initial Exchange Offering): 중앙화 거래소를 통해 진행되는 토큰 판매로, 거래소의 심사를 거쳐 신뢰성을 높이고, 거래소 이용자들에게 직접 판매됩니다.
  • IDO (Initial DEX Offering): 탈중앙화 거래소(DEX)를 통해 진행되는 토큰 판매로,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즉시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유통 방식

코인 (Coin)

코인의 유통은 네트워크의 구조와 합의 알고리즘에 따라 결정되며, 공급 속도가 예측 가능합니다.

  • 채굴 또는 스테이킹 보상: 네트워크 참여를 통해 점진적으로 시장에 유입됩니다.
  • 거래소 상장: 코인은 주요 거래소에 상장되어 사용자들이 거래를 통해 획득할 수 있습니다.

토큰 (Token)

토큰은 프로젝트의 전략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유통되며, 초기 유통 계획이 토큰의 가치와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 에어드랍(Airdrop): 특정 조건을 충족한 사용자들에게 무료로 토큰을 배포하여 프로젝트의 인지도를 높이고 사용자 참여를 유도합니다.
  • 보상 지급: 플랫폼 내 활동(예: 예치, 거래, 참여 등)에 따라 토큰을 보상으로 지급하여 사용자 참여를 촉진합니다.
  • 사전 할당 및 락업 해제: 팀, 투자자, 재단 등에 할당된 토큰이 일정 기간 후 점진적으로 시장에 풀리며, 이는 토큰의 유통량과 시장 가격에 영향을 미칩니다.

코인과 토큰, 어느 쪽이 더 미래적인가?

코인 토큰 비교

사실 이 질문에 정답은 없어요. 코인과 토큰은 서로 다른 역할과 가능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상호 보완적인 관계로 진화할 수밖에 없어요.

코인은 블록체인 기술 인프라의 근간으로서, 토큰은 그 인프라 위에서 새로운 가치를 실현하는 도구로서 공존할 것입니다.

  • 예를 들어, 2030년의 세상을 상상해보면:
  • 전 세계 중앙은행은 자국 화폐의 디지털 버전(CBDC)을 발행하고, 모든 금융 상품은 블록체인 상에서 토큰화되어 실시간으로 거래되며, 일상적인 결제와 투표, 멤버십 활동도 모두 스마트 계약 기반의 토큰으로 수행될 수 있어요.

이처럼 코인과 토큰은 앞으로 우리가 살아갈 디지털 사회의 경제 언어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매우 큽니다. 그리고 이 변화의 흐름은 이미 시작되었고, 지금 이 순간에도 계속해서 발전 중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