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티버스엑스 코인 (EGLD) 분석 – 개념, 시세, 거래소, 주요이슈

멀티버스엑스 코인 (EGLD) 분석하였습니다. EGLD 개념, 시세 차트, 거래가능한 거래소 뿐만 아니라 멀티버스엑스 코인의 연도별 주요 이슈까지 모두 알아보겠습니다.

멀티버스엑스 코인 (EGLD) 시세 차트

시가총액

멀티버스엑스 코인 (EGLD) 시가총액 및 순위는 실시간 반영됩니다.

항목 내용
시가총액 $376,279,416
시총 순위 186위

 

바이낸스 차트

멀티버스엑스 코인(EGLD)은 바이낸스에 상장되어 있으며, EGLD/USDT 차트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업비트 차트

멀티버스엑스 코인(EGLD)은 업비트에 상장되어 있으며, EGLD/KRW 차트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멀티버스엑스 코인 (EGLD) 거래소

멀티버스엑스 코인 거래소

멀티버스엑스 코인 (EGLD)을 거래 가능한 거래소 리스트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고 있습니다.

  • KRW 또는 USDT로 가능한 거래소들만 나열하였습니다.
  • 거래량이 많은 거래소부터 순서대로 TOP 20까지 정리했습니다.
거래소 거래 마켓 거래 링크
HTXHTX EGLD/USDT 이동
BinanceBinance EGLD/USDT 이동
Toobit EGLD/USDT 이동
Trubit EGLD/USDT 이동
Hotcoin EGLD/USDT 이동
MEXC EGLD/USDT 이동
LBank EGLD/USDT 이동
Biconomy.com EGLD/USDT 이동
WhiteBIT EGLD/USDT 이동
AscendEX (BitMax) EGLD/USDT 이동
BTSE EGLD/USDT 이동
XT.COM EGLD/USDT 이동
GroveX EGLD/USDT 이동
UpbitUpbit EGLD/KRW 이동
KCEX EGLD/USDT 이동
FMFW.io EGLD/USDT 이동
HitBTC EGLD/USDT 이동
BYDFi EGLD/USDT 이동
Tapbit EGLD/USDT 이동
KickEX EGLD/USDT 이동

 

거래소 상장/상폐 이력

멀티버스엑스 코인 (EGLD)의 상장 및 상장 폐지 시기를 아래 표에 정리했습니다.

  • 거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많은 이용자들이 신뢰하는 한국 및 글로벌 주요 거래소를 기준으로 정리하였습니다.
  • 이들 거래소에서의 상장 및 폐지 여부는 해당 암호화폐의 실제 거래량과 시장 내 영향력을 보다 정확하게 보여줍니다.
거래소 상장시기 상장폐지 시기
업비트 23/04/27
빗썸 상장됨
코인베이스
크라켄 22/06/16
바이낸스 상장됨
바이비트 상장됨
비트겟 상장됨
OKX 상장됨

멀티버스엑스 코인 (EGLD) 주요 이슈

멀티버스엑스 코인의 출시 이후 현재까지의 주요 이슈를 정리하였습니다.

이러한 이슈들을 살펴보면, 암호화폐 가격의 흐름이나 프로젝트의 안정성과 성장 가능성을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연도별 주요 이슈 요약

연도 주요이슈
2018 – 01월: Elrond 기술 백서 발표
– 05월: 프로토타입 공개 및 노드∙월렛 동작 시연
– 10월: 주요 상점 수천 곳에서 ERD 결제 지원 발표
– 11월: 오픈소스 전환, 공식 웹사이트 개설
2019 – 01월: Core v0.5 (Java → Go) 전환
– 06월: 테스트넷 시작 (5개 샤드, eWASM 통합)
– 07월: 바이낸스 런치패드 선정, 사전 프라이빗 라운드 약 190만 달러 모금
– 09월: eWASM 기반 VM 전환, 밸리데이터 경제 구조 공개
– 07/02: ICO 실시, 515만 달러 모금
– 11월: 삼성과 전략 협업 발표
2020 – 06월: 커뮤니티 테스트넷 263,000 TPS 달성
– 07월: 메인넷 정식 출시, 초기 경제 구조 재설계
– 09월: 토큰 리디노미네이션, ERD → EGLD 전환
– 12월: 가상 머신(eWASM) 공식 릴리즈
2021 – 01월: 스마트 계약 정식 가동
– 02월: 스테이킹 Phase 3 시작, 메이아앱 출시(모바일 지갑)
– 03월: 스테이킹 Phase 3.5 개시
– 09월: 메이아 DeFi 지갑 및 런치패드 기능 확대
– 11월: 메이아 익스체인지(DEX) 및 런치패드 프로젝트 시작
2022 – 01월: UTRUST 인수, xMoney 서비스 시작 기반 마련
– 03월: 온체인 거버넌스·스테이킹 Phase 4 도입, Twispay 인수
– 05월: BHero 런치패드 및 egld.gg 게임길드 출범
– 07월: Jungle DEX 베타 런칭
– 11월: “Elrond”에서 “MultiversX”로 공식 브랜드 전환
2023 – 03월: xPortal (구 Maiar Wallet) 첫 선, GameFi∙소셜 기능 확대
– 05월: Ad Astra(크로스체인 브리지) 출시
– 11월: MultiversX 전환 1주년·xPortal 사용자 100만 돌파
2024 – 05월: Q1·Q3 정기 보고서 통해 생태계 성과 공유
– 06월: xPortal 1주년 기념, 퀘스트·NFT 이벤트 진행
2025 – 02월: Q4 2024·Q1 2025 생태계 운영 투명성 보고서 발표
– 06월: Validator 노드 3,200개 이상 운영, 총 트랜잭션 4.3억 건 돌파

 

연도별 주요 이슈 구체적 설명

2018년: 기반 설계와 초기 기술 실험

2018년 초, Elrond 팀은 기술 백서를 발표하며 Adaptive State Sharding과 Secure PoS 구조를 공개했습니다. 이어 5월에 노드 및 월렛이 작동하는 프로토타입을 시연하며 실질적 구현 가능성을 입증했고, 10월에는 몇 천 개 상점에서 ERD 결제를 도입할 계획을 밝혔습니다. 11월에는 코드 전면 오픈소스로 전환하고, 커뮤니티 공조를 강화했습니다.

2019년: 테스트넷부터 ICO와 파트너십 확대

2019년 1월 Node Core를 Go 언어로 바꾸는 Core v0.5 업데이트를 단행했고, 6월에는 5개 샤드 구조를 갖춘 테스트넷을 가동했습니다. 7월엔 바이낸스 런치패드에 선정되어 전략적 협업을 이뤘으며, 사전 라운드로 약 190만 달러를 모았습니다. 9월에는 eWASM 통합 VM을 전환하고, 밸리데이터 경제 모델을 정식 공개했으며, 7월 ICO를 통해 515만 달러를 유치했습니다. 11월엔 삼성과 제휴를 맺고 생태계 확장에 박차를 가했습니다.

2020년: 메인넷 출범과 토큰 리브랜딩

6월 커뮤니티 테스트넷에서 26만 TPS 성능 달성 후, 7월 메인넷을 정식 런칭하며 네트워크를 가동했습니다. 9월에는 경제 구조 개편과 함께 기존 ERD를 EGLD로 리디노미네이션했고, 12월에는 eWASM 기반 가상 머신을 공식 출시했습니다.

2021년: 스마트 계약과 디파이 확장

1월 스마트 계약 기능을 도입한 뒤, 2월에는 스테이킹 Phase 3와 메이아 모바일 지갑이 출시되었습니다. 3월에는 Phase 3.5 업그레이드를 진행했고, 9월엔 DeFi 지갑과 런치패드를 강화했습니다. 11월엔 메이아 DEX와 유동성 지원 프로그램을 도입하며 생태계의 현실적 도약을 이끌었습니다.

2022년: 제도적 내실과 브랜드 전환

2022년 1월, UTRUST 인수로 xMoney 금융 솔루션 출범 기반을 닦았으며, 3월에는 온체인 거버넌스와 스테이킹 Phase 4를 실행하고, 결제사 Twispay도 인수했습니다. 5월엔 BHero 런치패드와 게임길드 egld.gg를 시작했으며, 7월 Jungle DEX 베타를 선보였습니다. 11월에는 공식적으로 Elrond에서 MultiversX로 브랜드 전환을 완료했습니다.

2023년: xPortal 중심 생태계 강화

3월에는 Maiar Wallet의 xPortal 전환이 진행되며 GameFi, NFT, 소셜 기능이 대거 추가되었고, 5월엔 Ad Astra 브리지로 다른 체인과 연결성을 강화했습니다. 11월엔 MultiversX 1주년을 맞아 xPortal 사용자가 100만 명을 초과했습니다.

2024년: 생태계 투명성 및 사용자 중심 이벤트

5월에는 Q1 및 Q3 분기 보고서를 통해 생태계의 주요 성과를 대외에 투명하게 공개했으며, 6월엔 xPortal 궐기 이벤트·NFT 및 퀘스트를 진행하며 생태계 활력을 키웠습니다.

2025년: 운영 확대와 트랜잭션 기록 갱신

2025년 2월, Q4 2024 및 Q1 2025 생태계 운영 성과 보고서를 발행해 거버넌스 투명성을 높였으며, 6월 기준 Validator 노드 수는 3,200개를 돌파하고, 총 트랜잭션 수는 4억 3천만 건을 넘어섰습니다. 이는 네트워크 확장성과 실질적 사용자 증가의 증거로 평가됩니다.

멀티버스엑스 코인 (EGLD) 분석

멀티버스엑스 코인(EGLD) 정보

구분 내용
암호화폐 명칭 EGLD (멀티버스엑스 코인)
암호화폐 유형 코인 (네이티브 자산)
암호화폐 표준 MultiversX 독자적 구조 (Adaptive State Sharding 기반)
네트워크 체인 MultiversX (구 Elrond Network)
기술기반 Secure Proof of Stake (SPoS)
용도 트랜잭션 수수료, 스테이킹, 거버넌스, 스마트 계약 실행 등
특징 초당 수천 건의 트랜잭션 처리,
고속 확장성, 낮은 수수료, sharding 기술 기반의 블록체인 아키텍처

 

멀티버스엑스 코인이란?

멀티버스엑스 코인(EGLD)이란 멀티버스엑스(MultiversX)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네이티브 유틸리티 코인으로, 고성능 블록체인 생태계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핵심 자산입니다.

EGLD는 코인인가? 토큰인가?

EGLD은 기술적으로는 멀티버스엑스 네트워크의 네이티브 자산으로서, 코인에 해당합니다.

  • EGLD는 자체 블록체인인 MultiversX에서 발행된 네이티브 자산입니다.
  • 독립적인 체인 상에서 운영되며, 플랫폼의 기본 기능 수행에 사용되므로, 코인에 해당합니다.

코인과 토큰의 차이점이 궁금하다면 [암호화폐, 코인, 토큰의 차이점]을 참고해보세요.

 

멀티버스엑스 코인 주요 기능

멀티버스엑스 코인(EGLD)은 멀티버스엑스 생태계에서 다음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 거래 수수료 지불 수단 : 사용자는 EGLD를 통해 네트워크 내 트랜잭션 수수료를 지불합니다.
  • 스테이킹 기능 : EGLD를 스테이킹하여 네트워크 검증자로 참여하거나 위임할 수 있으며,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거버넌스 참여 : EGLD 보유자는 네트워크 업그레이드 및 정책에 대한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 스마트 계약 수수료 지불 : MultiversX에서 실행되는 스마트 계약은 EGLD를 통해 비용을 처리합니다.
  • 디지털 자산 경제의 중심 : 다양한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에서 EGLD가 핵심 결제 수단으로 사용됩니다.

 

멀티버스엑스 코인 분배 비율

멀티버스엑스 코인(EGLD)의 분배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분배 대상 비율 설명
팀 및 고문 19% 개발팀, 창립자, 고문단 보상
생태계 및 보조금 25% 개발자 유치, 생태계 성장 지원
커뮤니티 및 마케팅 8.5% 이벤트, 커뮤니티 보상
프라이빗 세일 19% 초기 투자자 유치용
퍼블릭 세일 7.5% 공개 토큰 세일
보상 및 리워드 21% 스테이킹, 채굴 등 보상 구조

멀티버스엑스 (MultiversX) 분석

멀티버스엑스 (MultiversX) 정보

구분 내용
블록체인 네트워크 MultiversX
(formerly Elrond Network)
프로토콜/dApp/플랫폼 유형 Adaptive State Sharding + Secure Proof of Stake + WASM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
암호화폐 명칭 멀티버스엑스 코인 (EGLD)
개발사 MultiversX 팀
설립자 Beniamin Mincu, Lucian Mincu, Lucian Todea
설립 연도 2017년 (네트워크 개발 시작), 2020년 7월 30일 메인넷 런칭
본사 위치 유럽 (Malta 기반 팀 포함)
  • Adaptive State Sharding: 네트워크, 트랜잭션, 상태 샤딩을 모두 사용하여 병렬 처리 기반의 고성능 설계를 구현합니다.
  • Secure Proof of Stake (SPoS): 무작위 노드 선정 + BLS 다중 서명 → 빠르고 안전한 검증 구조.
  • WASM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 실행: Rust, C/C++, C#, TypeScript 등 친숙한 언어로 개발 가능.
  • 30% 스마트 컨트랙트 수수료 로열티: dApp 개발자에게 수익 제공.

 

멀티버스엑스란?

MultiversX는 이전 Elrond 네트워크로 알려졌으며, 고성능 블록체인 인프라를 제공하기 위해 2017년 설계가 시작되고 2020년 7월 30일 메인넷을 공식 출시했습니다. Adaptive State Sharding 및 Secure Proof of Stake 구조를 통해 수만 TPS, 초저수수료 (~평균 $0.00), 빠른 트랜잭션 확정성을 달성합니다. 탄소 중립을 지향하며, 3,000개 이상의 검증 노드로 글로벌 분산화되어 있습니다. 개발자 친화적이며 Web3 애플리케이션과 결합된 다양한 생태계를 갖추고 있습니다.

 

주요 특징

  • Adaptive State Sharding: 네트워크 메시징 + 트랜잭션 처리 + 상태 저장을 모두 분할 처리함으로써 병목 현상 방지와 확장성을 극대화합니다.
  • Secure Proof of Stake (SPoS): 예측 불가능한 무작위 기반 검증자 선정, BLS 다중 서명, 샤드 간 노드 셔플링으로 보안 강화.
  • WASM VM: Rust, C/C++, C#, TypeScript를 지원하며, 개발자 접근성을 높이고 고성능 가상머신 제공.
  • 30% dApp 수수료 로열티: 스마트 컨트랙트 개발자에게 일상적 수익 모델 제공.
  • 친환경·탄소중립: PoS 기반 구조로 에너지 소비 최소화.
  • 경제 구조: EGLD 총 발행량 상한 31.4M, 순환 공급 약 28.3M, 스테이킹된 EGLD 약 66%.

 

왜 중요한가?

  • 수만 TPS와 초저수수료 덕분에 DeFi, Web3 애플리케이션, 디지털 결제, IoT 등 다양한 실사용 시나리오에 적합합니다.
  • 개발자 친화성+로열티 제공으로 지속적인 생태계 확장을 유도합니다.
  • 확장성과 탈중앙화, 탄소중립을 함께 지향하는 기술 철학은 미래 블록체인의 방향성과 부합합니다.
  • 다양한 지갑(xPortal, MultiversX Wallet 등), 브리지, NFT 마켓플레이스, 게임, 금융 앱 등 실질적 생태계 구성 요소 다수 존재합니다.

 

MultiversX (EGLD) 개발진 정보

설립자

설립자 학력 및 설립 전 이력
Beniamin Mincu – 2008–2011년: Romanian‑German University of Sibiu, 경제학·경영학 학사
– 2014년 5월–2015년 10월: NEM.io Foundation – Business Lead·Marketing Lead·Community Lead
– 2016년 9월–2017년 12월: Metachain Capital 공동 설립 및 CEO
– 2017년 9월–현재: Elrond(현 MultiversX) 공동 설립 및 CEO
Lucian Mincu – 2014–2016년: Industrie‑ und Handelskammer, 컴퓨터 과학 Fachinformatiker 자격
– 2016년 9월–2017년 12월: Metachain Capital 공동 설립 및 CTO
– 2017년 8월–2017년 12월: ICO Market Data 공동 설립 및 CTO
– 2017년 9월–현재: Elrond(현 MultiversX) 공동 설립 및 CIO
Lucian Todea – 1995–1999년: Gheorghe Lazar 고등학교 (시비우)
– 1999–2002년: Bucharest University of Economic Studies, 금융·보험·은행·증권학 전공
– 2001년 12월: Soft32 설립 – CEO
– 2003년 1월: ITNT 설립 – CEO
– 다수 스타트업 창업 및 투자 (예: SmartBill, TypingDNA 등)
– 2017년 10월–현재: Elrond(현 MultiversX) 공동 설립 및 COO

고문

고문 학력 및 설립 전 이력
Grigore Roșu – 1995년: 부쿠레슈티 대학교 수학 학사
– 1996년: 부쿠레슈티 대학교 컴퓨팅 기초 석사
– 2000년 9월: UC San Diego 컴퓨터공학 박사
– 2000–2002년: NASA Ames Research Center, 연구 과학자
– 2002년–현재: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컴퓨터공학 교수 및 연구소장
– 2010년–현재: Runtime Verification Inc. 설립자 겸 CEO
– 2021년: MultiversX 스마트 컨트랙트 보안 및 형식 검증 고문으로 합류

멀티버스엑스 네트워크 투자 유치 포트폴리오

멀티버스엑스 네트워크는 약 5.15백만 달러 규모의 투자 유치에 성공하였습니다.

멀티버스엑스 투자사 리스트는 아래 표와 같습니다.

투자사 설명
YZi Labs (구 Binance Labs) Binance Labs에서 분사된 인큐베이터, 2019년 프라이빗 세일 참여.
Electric Capital 샌프란시스코 기반 벤처 캐피탈, 2019년 프라이빗 라운드 투자.
Maven 11 Capital 블록체인 전문 VC, 2019년 프라이빗 세일 참여.
Mapleblock Capital 암호화폐 및 디지털 자산에 집중 투자하는 벤처 캐피탈.
NGC Ventures 아시아 중심의 블록체인 전문 벤처, 프라이빗 라운드 참여.
AU21 Capital 수많은 Web3 프로젝트에 투자한 글로벌 VC.
Spark Digital Capital 암호화폐 및 디지털 자산 초기 단계 투자 기관.
Morningstar Ventures 블록체인 프로젝트 초기 투자에 활발한 VC.
ExNetwork Capital Web3 및 블록체인 프로젝트에 투자하는 글로벌 펀드.
Woodstock Fund 프라이빗 세일에 참여한 블록체인 전문 펀드.
Binance Launchpad 2019년 7월 IEO 라운드에서 퍼블릭 세일 주관.

멀티버스엑스 커뮤니티 채널

멀티버스엑스의 공식 커뮤니티와 소셜미디어 모든 채널들을 정리하였습니다.

각 채널을 통해 최신 소식과 프로젝트의 개발 현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업데이트 소식, 커뮤니티 이벤트 등 다양한 정보를 확인해보세요.

  • 아래 커뮤니티에서 장기간 업데이트 사항이 없다면, 현재 개발 현황을 의심해볼수 있습니다.
  • 또한, 아래 링크가 열리지 않는다면, 원래 존재하던 채널이 삭제된 것입니다. 이 역시 개발 현황에 대한 의문을 가질 수 있는 부분입니다.

 

공식 사이트

구분 접속 링크
공식 웹사이트 바로가기

 

SNS (소셜 미디어) 채널

구분 접속 링크
X (구 트위터) 바로가기
인스타그램 (Instagram) 바로가기
페이스북 (Facebook) 바로가기

 

콘텐츠 미디어 채널

구분 접속 링크
유튜브 (YouTube)
레딧 (Reddit) 바로가기

멀티버스엑스 코인 (EGLD) 참고사항

비트세이브

이 글은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어떠한 투자 권유나 금융 자문에 해당하지 않으며, 투자에 대한 최종 결정과 책임은 전적으로 본인에게 있습니다.

비트세이브(bitsave.co.kr)에서는 멀티버스엑스 코인(EGLD)을 포함한 여러 암호화폐의 분석 정보를 제공합니다. 또한, 각 암호화폐 거래소 이용 가이드, 수수료 할인 혜택 정보, 레퍼럴 코드도 함께 제공하니, 꼭 참고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