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 (ETH) 분석하였습니다. ETH 개념, 시세 차트, 거래가능한 거래소 뿐만 아니라 이더리움의 연도별 주요 이슈까지 모두 알아보겠습니다.
이더리움 (ETH) 시세 차트
시가총액
이더리움(ETH) 시가총액 및 순위는 실시간 반영됩니다.
항목 | 내용 |
---|---|
시가총액 | $305,836,318,383 |
시총 순위 | 2위 |
바이낸스 차트
이더리움(ETH)은 바이낸스에도 상장되어 있으며, ETH/USDT 차트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업비트 차트
이더리움(ETH)은 업비트에 상장되어 있으며, ETH/KRW 차트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더리움 (ETH) 거래소
이더리움 거래소
이더리움(ETH)을 거래 가능한 거래소 리스트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고 있습니다.
- KRW 또는 USDT로 가능한 거래소들만 나열하였습니다.
- 거래량이 많은 거래소부터 순서대로 TOP 20까지 정리했습니다.
거래소 | 거래 마켓 | 거래 링크 |
---|---|---|
![]() |
ETH/USDT | 이동 |
Tapbit | ETH/USDT | 이동 |
![]() |
ETH/USDT | 이동 |
Gate | ETH/USDT | 이동 |
![]() |
ETH/USDT | 이동 |
WEEX | ETH/USDT | 이동 |
BitMart | ETH/USDT | 이동 |
MEXC | ETH/USDT | 이동 |
Crypto.com Exchange | ETH/USDT | 이동 |
DigiFinex | ETH/USDT | 이동 |
![]() |
ETH/USDT | 이동 |
Toobit | ETH/USDT | 이동 |
AscendEX (BitMax) | ETH/USDT | 이동 |
CoinW | ETH/USDT | 이동 |
Coinstore | ETH/USDT | 이동 |
XT.COM | ETH/USDT | 이동 |
LBank | ETH/USDT | 이동 |
OrangeX | ETH/USDT | 이동 |
Hibt | ETH/USDT | 이동 |
![]() |
ETH/USDT | 이동 |
거래소 상장/상폐 이력
이더리움 (ETH)의 상장 및 상장 폐지 시기를 아래 표에 정리했습니다.
- 거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많은 이용자들이 신뢰하는 한국 및 글로벌 주요 거래소를 기준으로 정리하였습니다.
- 이들 거래소에서의 상장 및 폐지 여부는 해당 코인의 실제 거래량과 시장 내 영향력을 보다 정확하게 보여줍니다.
거래소 | 상장시기 | 상장폐지 시기 |
---|---|---|
업비트 | 17/10/24 | – |
빗썸 | 14/01/01 | – |
코인베이스 | 16/05/24 | – |
크라켄 | 15/08/08 | – |
바이낸스 | 17/07/14 | – |
바이비트 | 21/07/15 | – |
비트겟 | 22/03/01 | – |
OKX | 22/12/21 | – |
이더리움 (ETH) 주요 이슈
이더리움의 출시 이후 현재까지의 주요 이슈를 정리하였습니다.
이러한 이슈들을 살펴보면, 코인 가격의 흐름이나 프로젝트의 안정성과 성장 가능성을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연도별 주요 이슈 요약
연도 | 주요이슈 |
---|---|
2015 |
– 07/30: 이더리움 메인넷 ‘Frontier’ 정식 출시, 스마트 계약 실행 가능
|
2016 |
– 06월: DAO 해킹 사건 발생, 약 360만 ETH 탈취 → 하드포크로 이더리움과 이더리움 클래식 분리
|
2017 |
– 03월: 엔터프라이즈 이더리움 얼라이언스(EEA) 출범, 기업용 블록체인 협력 강화
|
2021 |
– 08/05: 런던 하드포크(EIP-1559) 적용, 수수료 일부 소각 메커니즘 도입으로 디플레이션 구조 강화
|
2022 |
– 09/15: ‘더 머지(The Merge)’ 완료, PoW에서 PoS로 전환 → 에너지 소비 약 99% 감소
|
2023 |
– 03월: ‘셰펠라(Shapella)’ 업그레이드 완료, 스테이킹된 ETH 출금 기능 활성화
|
2024 |
– 07월: 미국 SEC, 이더리움 현물 ETF 승인 → 기관 투자 접근성 확대
|
2025 |
– 05월: ‘펙트라(Pectra)’ 업그레이드 완료, 트랜잭션 속도 향상 및 스테이킹 상한 2048 ETH로 확대
|
연도별 주요 이슈 구체적 설명
2015년: 이더리움 메인넷 출시
2015년 7월 30일, 이더리움은 ‘Frontier’라는 이름으로 메인넷을 정식 출시했습니다. 이는 스마트 계약을 실행할 수 있는 최초의 퍼블릭 블록체인으로, 개발자들이 분산 애플리케이션(DApp)을 구축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했습니다. 이더리움의 출시는 블록체인 기술의 활용 범위를 확장시키는 중요한 이정표로 평가받습니다.
2016년: DAO 해킹과 하드포크
2016년 6월, 분산 자율 조직(DAO)이 해킹을 당해 약 360만 ETH가 탈취되는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커뮤니티는 하드포크를 단행하여 이더리움과 이더리움 클래식으로 체인을 분리했습니다. 이 사건은 블록체인 거버넌스와 보안에 대한 중요한 논의를 촉발시켰습니다.
2017년: 엔터프라이즈 이더리움 얼라이언스 출범
2017년 3월, 엔터프라이즈 이더리움 얼라이언스(EEA)가 출범하여, 이더리움 기술을 기업 환경에 적용하기 위한 협력체계를 구축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인텔, JP모건 등 주요 기업들이 참여하여, 이더리움의 기업용 활용 가능성을 높였습니다.
2021년: 런던 하드포크와 EIP-1559 도입
2021년 8월 5일, 이더리움은 ‘런던’ 하드포크를 통해 EIP-1559를 도입했습니다. 이 제안은 거래 수수료 구조를 개편하여, 기본 수수료를 소각하는 메커니즘을 도입함으로써 ETH의 공급량을 줄이고 디플레이션 압력을 강화했습니다.
2022년: ‘더 머지(The Merge)’ 완료
2022년 9월 15일, 이더리움은 ‘더 머지’를 통해 기존의 작업 증명(PoW)에서 지분 증명(PoS)으로 전환했습니다. 이로 인해 에너지 소비가 약 99% 감소하였으며, 네트워크의 지속 가능성과 확장성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2023년: ‘셰펠라(Shapella)’ 업그레이드
2023년 3월, 이더리움은 ‘셰펠라’ 업그레이드를 통해 스테이킹된 ETH의 출금 기능을 활성화했습니다. 이는 PoS 전환 이후 스테이킹된 자산의 유동성을 확보하는 중요한 단계로, 스테이킹 참여자들의 신뢰를 높였습니다.
2024년: 이더리움 현물 ETF 승인
2024년 7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이더리움 현물 ETF를 승인하여, 기관 투자자들이 보다 쉽게 ETH에 투자할 수 있는 길을 열었습니다. 이는 이더리움의 제도권 편입을 의미하는 중요한 진전으로 평가됩니다.
2025년: ‘펙트라(Pectra)’ 업그레이드 완료
2025년 5월, 이더리움은 ‘펙트라’ 업그레이드를 완료하여, 트랜잭션 처리 속도를 향상시키고, 스테이킹 상한을 기존 32 ETH에서 2048 ETH로 확대했습니다. 이로써 네트워크의 확장성과 효율성이 더욱 강화되었습니다.
이더리움 (ETH) 분석
이더리움(ETH) 정보
구분 | 내용 |
---|---|
토큰 명칭 | ETH (이더리움) |
토큰 표준 | ERC-20 (이더리움 호환) |
네트워크 체인 | Ethereum 메인넷 |
기술기반 | EVM, 스마트 컨트랙트, PoS, ERC-20, ERC-721 등 |
이더리움(ETH)이란?
이더리움은 Ethereum 메인넷에서 사용되는 네이티브 암호화폐로, ETH로 표기됩니다. 스마트 컨트랙트와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dApp)을 실행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블록체인 기술의 확장성과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ETH는 코인인가? 토큰인가?
ETH는 코인이며 이더리움이라고 불립니다.
- ETH는 이더리움 블록체인의 기본 네이티브 자산으로서, 이더리움 자체에서 발행되기 때문에 코인에 해당합니다.
코인과 토큰의 차이점이 궁금하다면 [암호화폐, 코인, 토큰의 차이점]을 참고해보세요.
이더리움(ETH) 주요 기능
이더리움(ETH)은 Ethereum 메인넷의 핵심 토큰으로, 다음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 트랜잭션 수수료 지불 : ETH는 Ethereum 네트워크 내에서 발생하는 모든 거래의 수수료(gas fee)를 지불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는 네트워크 사용에 필수적인 기본 토큰입니다.
- 스마트 컨트랙트 실행 : 이더리움은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다양한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이는 자동화된 계약 실행을 가능하게 합니다.
- 스테이킹 및 보상 : 사용자는 ETH를 스테이킹하여 네트워크 보안에 기여할 수 있으며, 그에 대한 보상으로 추가 ETH를 획득할 수 있습니다.
- DeFi 및 dApp 생태계에서의 활용 : ETH는 다양한 디앱(dApp)과 DeFi 플랫폼에서 담보 자산이나 유동성 공급 토큰으로 사용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산 운용, 대출, 수익 파밍 등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토큰 발행 표준 : 이더리움은 ERC-20, ERC-721 등의 토큰 표준을 통해 다양한 토큰을 발행하고 관리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합니다.
이더리움(ETH) 분배 비율
이더리움 (ETH)의 경우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초기 분배가 이루어졌습니다.
분배 대상 | 비율 | 설명 |
---|---|---|
초기 투자자 | 83.3% | 2014년 ICO를 통해 분배된 물량 |
이더리움 재단 | 16.7% | 재단 운영 및 개발자 지원을 위한 물량 |
이더리움(Ethereum) 블록체인 플랫폼 분석
이더리움(Ethereum) 정보
구분 | 내용 |
---|---|
블록체인 플랫폼 (네트워크 명칭) |
Ethereum (이더리움) |
토큰 명칭 | ETH (이더리움) |
개발사 | Ethereum Foundation |
설립자 | Vitalik Buterin 외 공동 창립자 |
설립 연도 | 2015년 |
본사 위치 | 스위스(재단 본부) |
이더리움(Ethereum)이란?
이더리움(Ethereum)은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과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DApp)을 실행할 수 있는 오픈소스 블록체인 플랫폼입니다. 단순한 암호화폐를 넘어서, 다양한 디지털 자산과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범용 컴퓨팅 환경을 제공합니다.
- 스마트 계약: 조건이 충족되면 자동으로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 중개자 없이 신뢰할 수 있는 거래를 가능하게 합니다.
-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DApp): 중앙 서버 없이 블록체인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투명성과 보안성이 높습니다.
- 이더리움 가상 머신(EVM):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스마트 계약을 실행하는 환경으로,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지원합니다.
이더리움은 이러한 기능들을 통해 금융, 게임, 소셜 네트워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합니다. [출처: 이더리움 공식 웹사이트]
이더리움(Ethereum)의 주요 특징
이더리움은 지속적인 업그레이드를 통해 성능과 확장성을 개선하고 있습니다.
Pectra 업그레이드
2025년 시행된 Pectra 업그레이드는 이더리움의 가장 큰 변화 중 하나로, 거래 속도 향상과 수수료 감소, 지갑 사용성 개선 등을 포함합니다. 특히, 스테이킹 한도가 32 ETH에서 2,048 ETH로 증가하여 유연한 참여가 가능해졌습니다.
지분증명(PoS) 전환
2022년 ‘머지(The Merge)’를 통해 작업증명(PoW)에서 지분증명(PoS)으로 전환하여 에너지 소비를 약 99% 절감하였습니다. 이는 환경 친화적인 블록체인 운영을 가능하게 하였습니다.
레이어 2 솔루션
이더리움은 확장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레이어 2 솔루션(예: Arbitrum, Optimism)을 도입하여, 빠르고 저렴한 거래를 지원합니다.
왜 이더리움(Ethereum)이 중요한가?
- 탈중앙화 금융(DeFi): 이더리움은 다양한 DeFi 프로젝트의 기반으로, 전통 금융 시스템을 대체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 대체불가능토큰(NFT): 디지털 자산의 소유권을 증명하는 NFT의 주요 플랫폼으로 활용됩니다.
- 개발자 생태계: 활발한 개발자 커뮤니티와 풍부한 도구들이 이더리움의 지속적인 발전을 이끌고 있습니다.
이러한 요소들은 이더리움을 단순한 암호화폐를 넘어, 디지털 혁신의 중심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게 합니다.
이더리움(Ethereum) 개발진 정보
설립자
설립자 | 이력 |
---|---|
Vitalik Buterin | – 1994년: 러시아 콜롬나에서 출생 – 2000년: 가족과 함께 캐나다로 이주 – 2003년: 초등학교 3학년 때 영재반 배정, 수학·프로그래밍·경제학에 흥미 – 2010년: 토론토의 사립학교 Abelard School 입학 – 2011년: 아버지를 통해 비트코인에 관심을 갖고 Bitcoin Magazine 공동 설립 – 2012년: 이탈리아에서 열린 국제정보올림피아드에서 동메달 수상 – 2012년: 워털루 대학교 입학, Ian Goldberg 교수 연구실에서 조교로 활동 – 2013년: 다양한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탐색하며 개발자들과 교류 – 2013년: 이더리움 백서 작성 및 발표 – 2014년: Thiel Fellowship 수혜로 10만 달러 지원받고 대학 중퇴, 이더리움 개발에 전념 – 2015년: 이더리움 메인넷 출시 – 2018년: 바젤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학위 수여 |
Gavin Wood | – 1980년대: 영국에서 출생 – 2000년대 초반: 요크 대학교에서 컴퓨터 공학 박사 학위 취득 – 2013년: 이더리움 프로젝트에 합류, Solidity 언어 및 이더리움 옐로우 페이퍼 작성 – 2015년: 이더리움 메인넷 출시 후 Parity Technologies 공동 설립 – 2016년: Web3 Foundation 설립 – 2020년: Polkadot 메인넷 출시 – 현재: Web3 Foundation과 Parity Technologies에서 Polkadot 및 Web3 생태계 개발 주도 |
Charles Hoskinson | – 1987년: 미국 하와이에서 출생 – 2000년대 초반: Metropolitan State University of Denver 및 University of Colorado Boulder에서 수학 전공 (학위 미취득) – 2013년: Bitcoin Education Project 시작 – 2013년 말: 이더리움 공동 설립자 중 한 명으로 참여 – 2014년: 이더리움 프로젝트에서 탈퇴 – 2015년: IOHK (Input Output Hong Kong) 공동 설립 – 2017년: Cardano 프로젝트 출시 – 현재: IOHK CEO로서 Cardano 및 관련 블록체인 프로젝트 개발 주도 |
Anthony Di Iorio | – 1975년경: 캐나다 토론토에서 출생 – 2012년: 부동산 자산을 매각하고 비트코인에 투자 시작 – 2013년: 이더리움 공동 설립자 중 한 명으로 참여 – 2014년: Decentral 및 Jaxx Wallet 설립 – 현재: 블록체인 기술 및 스타트업에 투자자로 활동 중 |
Joseph Lubin | – 1960년대: 캐나다에서 출생 – 1980년대: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전기공학 및 컴퓨터과학 학사 학위 취득 – 2013년: 이더리움 공동 설립자 중 한 명으로 참여 – 2015년: ConsenSys 설립 |
Mihai Alisie | – 1980년대: 루마니아에서 출생 – 2011년: Vitalik Buterin과 함께 Bitcoin Magazine 공동 설립 – 2013년: 이더리움 공동 설립자 중 한 명으로 참여 – 2014년: 이더리움 재단 설립에 기여 |
Amir Chetrit | – 1970년대: 이스라엘에서 출생 – 2013년: 이더리움 공동 설립자 중 한 명으로 참여 – 2014년: 이더리움 프로젝트에서 탈퇴 – 현재: 블록체인 및 기술 스타트업에 투자자로 활동 중 |
Jeffrey Wilcke | – 1980년대: 네덜란드에서 출생 – 2013년: 이더리움 공동 설립자 중 한 명으로 참여 – 2014년: Go 언어로 구현된 이더리움 클라이언트 개발 – 현재: 게임 개발 및 블록체인 기술 관련 프로젝트에 참여 중 |
현재 이더리운 운영중인 설립자
설립자 | 이력 |
---|---|
Vitalik Buterin | – 현재: 이더리움 재단에서 프로토콜 개발 및 생태계 확장에 기여 중 |
Joseph Lubin | – 현재: ConsenSys CEO로서 이더리움 기반 애플리케이션 및 인프라 개발 주도 |
Mihai Alisie | – 현재: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사회적 영향 프로젝트에 참여 중 |
이더리움 투자 유치 포트폴리오
이더리움(ETH)은 2014년 약 1,800만 달러 규모의 크라우드세일을 통해 초기 자금 조달에 성공하였습니다.
이더리움 투자사 리스트는 아래 표와 같습니다.
투자사 | 설명 |
---|---|
Ethereum Foundation |
이더리움 생태계의 핵심 비영리 조직으로, 프로토콜 개발 및 커뮤니티 지원을 담당.
|
ConsenSys |
이더리움 기반 인프라 및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주도하는 소프트웨어 기업.
|
Paradigm |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분야에 집중하는 미국의 벤처 캐피탈로, 이더리움 관련 프로젝트에 다수 투자.
|
Electric Capital |
암호화폐 및 Web3 스타트업에 집중하는 벤처 캐피탈로, 이더리움 생태계에 활발히 참여.
|
Binance Labs |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Binance의 투자 부문으로, 다양한 블록체인 프로젝트에 전략적 투자.
|
Coinbase Ventures |
미국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Coinbase의 투자 부문으로, 이더리움 기반 스타트업에 다수 투자.
|
Andreessen Horowitz (a16z) |
실리콘밸리의 대표적인 벤처 캐피탈로, 이더리움 및 Web3 프로젝트에 대규모 투자.
|
Polychain Capital |
암호화폐 및 블록체인 프로젝트에 특화된 벤처 캐피탈로, 이더리움 생태계에 적극 참여.
|
Union Square Ventures |
뉴욕 기반의 벤처 캐피탈로, 초기 단계의 이더리움 관련 프로젝트에 투자.
|
Founders Fund |
피터 틸이 설립한 벤처 캐피탈로, 이더리움 및 기타 암호화폐에 전략적 투자.
|
이더리움 커뮤니티 채널
이더리움의 공식 커뮤니티와 소셜미디어 모든 채널들을 정리하였습니다.
각 채널을 통해 최신 소식과 프로젝트의개발 현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업데이트 소식, 커뮤니티 이벤트 등 다양한 정보를 확인해보세요.
- 아래 커뮤니티에서 장기간 업데이트 사항이 없다면, 현재 개발 현황을 의심해볼수 있습니다.
- 또한, 아래 링크가 열리지 않는다면, 원래 존재하던 채널이 삭제된 것입니다. 이 역시 개발 현황에 대한 의문을 가질 수 있는 부분입니다.
공식 사이트
구분 | 접속 링크 |
---|---|
공식 웹사이트 | 바로가기 |
SNS (소셜 미디어) 채널
구분 | 접속 링크 |
---|---|
X (구 트위터) | 바로가기 |
텔레그램 (Telegram) | 바로가기 |
디스코드 (Discord) | 바로가기 |
콘텐츠 미디어 채널
구분 | 접속 링크 |
---|---|
유튜브 (YouTube) | 바로가기 |
미디엄 (Medium) | 바로가기 |
이더리움 (ETH) 참고사항
이 글은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어떠한 투자 권유나 금융 자문에 해당하지 않으며, 투자에 대한 최종 결정과 책임은 전적으로 본인에게 있습니다.
비트세이브(bitsave.co.kr)에서는 이더리움(ETH)을 포함한 여러 암호화폐의 분석 정보를 제공합니다. 또한, 각 암호화폐 거래소 이용 가이드, 수수료 할인 혜택 정보, 레퍼럴 코드도 함께 제공하니, 꼭 참고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