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 에이아이 코인 (LBL)에 대해서 완벽정리하였습니다. 레이블 에이아이 코인이 무엇인지 개념에 대해서 알아보고, 현재 시세, 거래가능한 거래소 뿐만 아니라 LBL 유통량 및 미래 전망까지 모두 알아보겠습니다.
레이블 에이아이 코인 (LBL) 시세 차트
레이블 에이아이 코인 시가총액
레이블 에이아이 코인 (LBL) 시가총액 및 순위는 실시간 반영됩니다.
항목 | 내용 |
---|---|
시가총액 | $1,781,056 |
시총 순위 | 3062위 |
해외 차트
레이블 에이아이 코인 (LBL)은 USDT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지 않습니다.
빗썸 차트
레이블 에이아이 코인 (LBL)은 빗썸에 상장되어 있으며, LBL/KRW 차트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레이블 에이아이 코인 (LBL) 거래소
레이블 에이아이 코인 거래소
레이블 에이아이 코인 (LBL)을 거래 가능한 거래소 리스트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고 있습니다.
- KRW 또는 USDT로 가능한 거래소들만 나열하였습니다.
- 거래량이 많은 거래소부터 순서대로 TOP 20까지 정리했습니다.
거래소 | 거래 마켓 | 거래 링크 |
---|---|---|
![]() |
LBL/KRW | 이동 |
Coinone | LBL/KRW | 이동 |
거래소 상장/상폐 이력
레이블 에이아이 코인의 상장 및 상장 폐지 시기를 아래 표에 정리했습니다.
- 거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많은 이용자들이 신뢰하는 한국 및 글로벌 주요 거래소를 기준으로 정리하였습니다.
- 이들 거래소에서의 상장 및 폐지 여부는 해당 코인 실제 거래량과 시장 내 영향력을 보다 정확하게 보여줍니다.
거래소 | 상장시기 | 상장폐지 시기 |
---|---|---|
업비트 | – | – |
빗썸 | 23/01/18 | – |
코인베이스 | – | – |
크라켄 | – | – |
바이낸스 | – | – |
바이비트 | – | – |
비트겟 | – | – |
OKX | – | – |
레이블 에이아이 코인 (LBL) 주요 이슈
레이블 에이아이 코인 (LBL) 의 출시 이후 현재까지의 주요 이슈를 정리하였습니다.
이러한 이슈들을 살펴보면, 코인 가격의 흐름이나 프로젝트의 안정성과 성장 가능성을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연도별 주요 이슈 요약
연도 | 주요이슈 |
---|---|
2021 |
– 03월: LABEL Foundation 설립, LBL 코인 발행 (이더리움 기반)
– NFT 기반 음악 저작권 플랫폼 비전 제시 |
2022 |
– 04월: LBL 코인 사상 최고가 기록 ($0.04518)
– SK Inc.와 파트너십 체결, NFT 마켓플레이스 개발 협력 – BitKeep 지갑과 파트너십 체결, 에어드랍 이벤트 진행 |
2023 |
– TRACKS 플랫폼 출시: 음악 감상 보상 시스템 도입
– NFT 헤드폰 및 미스터리 박스 기능 추가 |
2024 |
– LABEL 2.0 발표: NFT 마켓플레이스 기능 확장, 교육 콘텐츠 및 IP 판매 지원 강화
– 유통량 증가로 인한 인플레이션 우려 제기 |
연도별 주요 이슈 구체적 설명
2021년: 프로젝트 출범과 비전 제시
2021년 3월, LABEL Foundation은 이더리움 기반의 LBL 코인을 발행하며 공식 출범했습니다. 프로젝트는 음악 산업의 불공정한 수익 분배 구조를 개선하고자 NFT 기술을 활용한 저작권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습니다. 이를 통해 창작자와 소비자 간의 직접적인 연결을 강화하고, 음악 콘텐츠의 가치를 재정의하려는 비전을 제시했습니다.
2022년: 파트너십과 생태계 확장
2022년 4월, LBL 코인은 사상 최고가인 $0.04518을 기록하며 시장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같은 해, LABEL Foundation은 SK Inc.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NFT 마켓플레이스 개발에 협력하기로 했으며, 이를 통해 플랫폼의 기술적 기반을 강화했습니다. 또한, BitKeep 지갑과의 협업을 통해 에어드랍 이벤트를 진행하며 사용자 기반을 확대하고자 했습니다.
2023년: TRACKS 플랫폼 출시와 기능 강화
2023년, LABEL Foundation은 TRACKS 플랫폼을 출시하여 사용자들이 음악을 감상하면 토큰으로 보상받는 시스템을 도입했습니다. 이와 함께 NFT 헤드폰과 미스터리 박스 기능을 추가하여 사용자 참여를 유도하고, 플랫폼 내에서의 활동을 gamification 요소로 강화했습니다. 이러한 기능들은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고, 생태계 내에서의 활발한 활동을 촉진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2024년: LABEL 2.0 발표와 구조적 변화
2024년, LABEL Foundation은 LABEL 2.0을 발표하며 NFT 마켓플레이스의 기능을 확장했습니다. 이를 통해 음악가들이 자신의 자산, 창작물, 교육 콘텐츠, IP 등을 블록체인 기반으로 판매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했습니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유통량 증가로 인한 인플레이션 우려가 제기되었으며, 이는 투자자들 사이에서 토큰의 장기적 가치에 대한 논의를 촉발시켰습니다.
레이블 에이아이 코인 (LBL) 분석
레이블 에이아이 코인(LBL) 정보
구분 | 내용 |
---|---|
암호화폐 명칭 | LBL (레이블 에이아이 코인) |
암호화폐 유형 | 토큰 (ERC-20 기반) |
암호화폐 표준 | ERC-20 (이더리움 및 BNB 체인 지원) |
네트워크 체인 | 이더리움, BNB 스마트 체인 |
기술기반 | NFT 기반 콘텐츠 IP 인큐베이팅 플랫폼 |
용도 | DAO 거버넌스, 콘텐츠 투자, NFT 수익 분배, 스테이킹 등 |
특징 | 콘텐츠 IP의 NFT화 및 탈중앙화된 수익 구조 제공, MOOC 콘텐츠 제작자와 투자자 간의 P2P 인큐베이팅 시스템 구축 |
레이블 에이아이 코인이란?
레이블 에이아이 코인(LBL)은 레이블 에이아이(LABEL AI)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유틸리티 및 거버넌스 토큰으로, 콘텐츠 제작자와 투자자 간의 공정한 수익 분배를 목표로 하는 NFT 기반 인큐베이팅 생태계의 핵심 자산입니다.
LBL은 코인인가? 토큰인가?
LBL은 한국에서 ‘레이블에이아이 코인’으로 불리지만, 기술적으로는 ‘코인’이 아닌 ‘토큰’에 해당합니다.
- LBL은 이더리움 및 BNB 스마트 체인에서 발행된 ERC-20 유틸리티 토큰입니다.
- 자체 독립 블록체인이 아닌 플랫폼 상에서 발행된 자산이므로, 코인이 아닌 토큰에 해당합니다.
코인과 토큰의 차이점이 궁금하다면 [암호화폐, 코인, 토큰의 차이점]을 참고해보세요.
레이블 에이아이 코인 주요 기능
레이블 에이아이 코인(LBL)은 레이블 에이아이 생태계에서 다음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 콘텐츠 IP 투자 수단 : 사용자는 LBL을 이용하여 콘텐츠 제작자의 프로젝트에 투자하고, NFT를 통해 수익을 공유받습니다.
- 거버넌스 기능 : 토큰 보유자는 DAO 시스템을 통해 플랫폼의 정책, 프로젝트 선정 등에 대한 투표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 스테이킹 및 보상 : LBL을 스테이킹하여 네트워크의 안정성 유지에 기여하고, 이에 대한 보상으로 추가 토큰을 획득할 수 있습니다.
- 콘텐츠 제작자 지원 : MOOC 산업의 콘텐츠 제작자들이 투자, 홍보, 배포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 탈중앙화된 인큐베이팅 시스템 : 콘텐츠 제작자와 투자자 간의 P2P 인큐베이팅을 통해 공정한 수익 구조를 제공합니다.
레이블 에이아이 코인 분배 비율
레이블 에이아이 코인(LBL)의 분배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분배 대상 | 비율 | 설명 |
---|---|---|
팀 및 어드바이저 | 20% | 프로젝트 개발 및 운영을 위한 핵심 팀과 어드바이저에게 할당 |
생태계 기금 | 30% | 플랫폼 생태계 확장, 파트너십, 마케팅 등에 사용 |
퍼블릭 세일 | 25% | 일반 투자자 대상 판매 |
프라이빗 세일 | 15% | 초기 투자자 및 전략 파트너에 대한 배분 |
리저브 | 10% | 예비 자금으로 보관되어 향후 필요 시 사용 |
레이블 파운데이션(LABEL Foundation) 분석
레이블 파운데이션 (LABEL Foundation) 정보
구분 | 내용 |
---|---|
블록체인 네트워크 | Ethereum (이더리움) Binance Smart Chain (바이낸스 스마트 체인) |
프로토콜/dApp/플랫폼 유형 | TRACKS (Web3 음악 스트리밍 플랫폼) |
암호화폐 명칭 | LBL (레이블에이아이 코인) |
개발사 | LABEL Foundation |
설립자 | Steven Douglas Pruitt |
설립 연도 | 2020년 |
본사 위치 | 대한민국 |
-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이더리움과 바이낸스 스마트 체인으로, 각각의 생태계에서 LBL 코인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 TRACKS는 Web3 기반의 음악 스트리밍 플랫폼으로, 사용자들이 음악을 감상하면서 토큰을 획득할 수 있는 ‘Listen-and-Earn’ 메커니즘을 제공합니다.
레이블 파운데이션이란?
레이블 파운데이션(LABEL Foundation)은 음악 산업의 불균형한 수익 구조를 개선하고, 창작자와 소비자 간의 직접적인 연결을 통해 공정한 생태계를 구축하고자 하는 블록체인 기반 플랫폼입니다. 이 플랫폼은 NFT와 DAO(탈중앙화 자율 조직)를 활용하여 콘텐츠의 투자, 유통, 수익 분배를 지원합니다.
- LBL 코인은 플랫폼 내에서 결제, 거버넌스 투표, 스테이킹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이더리움과 바이낸스 스마트 체인 네트워크에서 사용됩니다.
- TRACKS 플랫폼을 통해 사용자들은 음악을 감상하면서 토큰을 획득할 수 있으며, 이는 창작자에게 직접적인 보상으로 연결됩니다.
- 플랫폼은 NFT를 통해 창작자의 지적 재산권을 보호하고, 이를 거래할 수 있는 마켓플레이스를 제공합니다.
레이블 파운데이션은 이러한 구조를 통해 콘텐츠 제작자에게 더 나은 수익 구조를 제공하고, 투자자에게는 콘텐츠에 대한 지분을 NFT 형태로 보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출처: 레이블 파운데이션 공식 웹사이트]
레이블 파운데이션 주요 특징 : Web3 음악 생태계와 NFT 기반 수익 구조
레이블 파운데이션은 Web3 기술을 활용하여 음악 산업의 구조를 혁신하고자 합니다.
Listen-and-Earn 메커니즘
TRACKS 플랫폼은 사용자들이 음악을 감상하면서 토큰을 획득할 수 있는 ‘Listen-and-Earn’ 메커니즘을 제공합니다.
- 사용자는 음악을 감상한 시간에 비례하여 LBL 코인을 획득할 수 있습니다.
- 획득한 토큰은 창작자에게 직접적인 보상으로 전달되거나, 플랫폼 내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NFT 기반 지적 재산권 보호
플랫폼은 NFT를 활용하여 창작자의 지적 재산권을 보호하고, 이를 거래할 수 있는 마켓플레이스를 제공합니다.
- 창작자는 자신의 콘텐츠를 NFT로 발행하여 소유권을 명확히 할 수 있습니다.
- 사용자는 NFT를 구매하여 콘텐츠에 대한 지분을 보유하거나, 이를 거래할 수 있습니다.
DAO 기반 거버넌스
레이블 파운데이션은 DAO를 통해 플랫폼의 주요 결정 사항에 대한 투표를 진행하며, 사용자들의 참여를 유도합니다.
- LBL 코인 보유자는 플랫폼의 정책 결정에 참여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집니다.
- 이러한 구조는 플랫폼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왜 레이블 파운데이션이 중요한가?
- 레이블 파운데이션은 음악 산업의 불균형한 수익 구조를 개선하고, 창작자와 소비자 간의 직접적인 연결을 통해 공정한 생태계를 구축하고자 합니다.
- Web3 기술과 NFT를 활용하여 지적 재산권을 보호하고, 창작자의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합니다.
- DAO 기반의 거버넌스를 통해 사용자들의 참여를 유도하며, 플랫폼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높입니다.
레이블 에이아이(LABEL AI, LBL) 개발진 정보
설립자
설립자 | 이력 |
---|---|
Steve Pruitt | – 2002년: University of North Texas 입학, Jazz Studies 전공 – 2006년: Bachelor of Fine Arts (BFA) 학위 취득 – 2006년~2018년: 음악가 및 교수로 활동, 28년간 음악 산업 경력 보유 – 2021년: LABEL Foundation 설립 및 LBL 코인 출시 – 2022년: OPENTRACK 플랫폼과의 협업으로 NFT 인프라 구축 – 2023년: NVIDIA Inception Program 및 Alibaba Cloud와 파트너십 체결 – 2024년: LABEL Foundation을 LABEL AI로 리브랜딩, AI 음악 생태계 확장 |
레이블 에이아이 (LBL) 투자 유치 포트폴리오
레이블 에이아이 (LBL)는 약 530만 달러 규모의 투자 유치에 성공하였습니다.
레이블 에이아이 투자사 리스트는 아래 표와 같습니다.
투자사 | 설명 |
---|---|
DWF Labs | 글로벌 블록체인 투자사로, 2023년 4월 레이블 에이아이에 100만 달러 규모의 전략적 투자를 진행. |
eBest Investments | 한국의 대표적인 증권사로, 2022년 2월 클레슨(레이블 에이아이의 모회사)에 200만 달러 규모의 지분 투자를 진행. |
Groom Investment | 한국 기반의 투자사로, eBest Investments와 함께 2022년 2월 클레슨에 지분 투자를 진행. |
Momentum 6 | 블록체인 및 Web3 프로젝트에 집중하는 벤처 캐피탈로, 2021년 프라이빗 라운드에 참여. |
Icetea Labs | 베트남 기반의 블록체인 인큐베이터로, 2021년 프라이빗 라운드에 참여. |
Alphabit Fund | 블록체인 및 디지털 자산 분야에 투자하는 벤처 캐피탈로, 2021년 프라이빗 라운드에 참여. |
Global Blockchain Innovative Capital (GBIC) | 글로벌 블록체인 투자사로, 2021년 프라이빗 라운드에 참여. |
HG Ventures | 블록체인 및 기술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벤처 캐피탈로, 2021년 프라이빗 라운드에 참여. |
IOST | 블록체인 인프라 프로젝트로, 2021년 프라이빗 라운드에 참여. |
Mindfulness Capital | 블록체인 및 Web3 프로젝트에 투자하는 벤처 캐피탈로, 2021년 프라이빗 라운드에 참여. |
NFTb | 블록체인 기반의 NFT 마켓플레이스로, 2021년 프라이빗 라운드에 참여. |
Pragma | 블록체인 및 기술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벤처 캐피탈로, 2021년 프라이빗 라운드에 참여. |
Red Kite | 블록체인 기반의 런치패드 플랫폼으로, 2021년 프라이빗 라운드에 참여. |
레이블 에이아이 코인 유통량
레이블 에이아이 코인 (LBL)은 총 30억개가 발행됩니다.
구분 | 설명 |
---|---|
총 유통량 | 30억 개 |
초기 유통량 | – |
총 유통 기간 | 총 유통 완료 |
레이블 에이아이 네트워크의 추적 가능한 언락 물량은 28% 이며, 23년 9월 LBL 모두 유통 완료되었습니다.
레이블 파운데이션 커뮤니티 채널
레이블 파운데이션의 공식 커뮤니티와 소셜미디어 모든 채널들을 정리하였습니다.
각 채널을 통해 최신 소식과 프로젝트의개발 현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업데이트 소식, 커뮤니티 이벤트 등 다양한 정보를 확인해보세요.
- 아래 커뮤니티에서 장기간 업데이트 사항이 없다면, 현재 개발 현황을 의심해볼수 있습니다.
- 또한, 아래 링크가 열리지 않는다면, 원래 존재하던 채널이 삭제된 것입니다. 이 역시 개발 현황에 대한 의문을 가질 수 있는 부분입니다.
공식 사이트
구분 | 접속 링크 |
---|---|
공식 웹사이트 | 바로가기 |
SNS (소셜 미디어) 채널
구분 | 접속 링크 |
---|---|
X (구 트위터) | – |
텔레그램 (Telegram) | – |
디스코드 (Discord) | – |
레딧 (Reddit) | – |
페이스북 | – |
콘텐츠 미디어 채널
구분 | 접속 링크 |
---|---|
유투브 (Youtube) | – |
미디엄 (Medium) | 바로가기 |
레이블 에이아이 코인 (LBL) 참고사항
이 글은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어떠한 투자 권유나 금융 자문에 해당하지 않으며, 투자에 대한 최종 결정과 책임은 전적으로 본인에게 있습니다.
비트세이브(bitsave.co.kr)에서는 레이블 에이아이 코인 (LBL)을 포함한 다양한 암호화폐의 분석 정보를 제공합니다. 또한, 각 암호화폐 거래소 이용 가이드, 수수료 할인 혜택 정보, 레퍼럴 코드도 함께 제공하니, 꼭 참고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