렌더토큰 (RENDER) 분석하였습니다. RENDER 개념, 시세 차트, 거래가능한 거래소 뿐만 아니라 렌더토큰의 연도별 주요 이슈까지 모두 알아보겠습니다.
렌더토큰 (RENDER) 시세 차트
시가총액
렌더토큰 (RENDER) 시가총액 및 순위는 실시간 반영됩니다.
항목 | 내용 |
---|---|
시가총액 | $1,657,620,107 |
시총 순위 | 65위 |
바이낸스 차트
Render 토큰(RENDER)은 바이낸스에도 상장되어 있으며, RENDER/USDT 차트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업비트 차트
Render 토큰(RENDER)은 업비트에 상장되어 있으며, RENDER/KRW 차트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렌더토큰 (RENDER) 거래소
렌더토큰 거래소
렌더토큰 (RENDER)을 거래 가능한 거래소 리스트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고 있습니다.
- KRW 또는 USDT로 가능한 거래소들만 나열하였습니다.
- 거래량이 많은 거래소부터 순서대로 TOP 20까지 정리했습니다.
거래소 | 거래 마켓 | 거래 링크 |
---|---|---|
![]() |
RENDER/USDT | 이동 |
Toobit | RENDER/USDT | 이동 |
![]() |
RENDER/USDT | 이동 |
DigiFinex | RENDER/USDT | 이동 |
LBank | RENDER/USDT | 이동 |
FameEX | RENDER/USDT | 이동 |
AscendEX (BitMax) | RENDER/USDT | 이동 |
![]() |
RENDER/USDT | 이동 |
Ourbit | RENDER/USDT | 이동 |
![]() |
RENDER/USDT | 이동 |
Hibt | RENDER/USDT | 이동 |
Trubit | RENDER/USDT | 이동 |
Gate | RENDER/USDT | 이동 |
![]() |
RENDER/USDT | 이동 |
WhiteBIT | RENDER/USDT | 이동 |
CoinW | RENDER/USDT | 이동 |
BitKan | RENDER/USDT | 이동 |
MEXC | RENDER/USDT | 이동 |
Hotcoin | RENDER/USDT | 이동 |
PointPay | RENDER/USDT | 이동 |
거래소 상장/상폐 이력
렌더토큰 (RENDER)의 상장 및 상장 폐지 시기를 아래 표에 정리했습니다.
- 거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많은 이용자들이 신뢰하는 한국 및 글로벌 주요 거래소를 기준으로 정리하였습니다.
- 이들 거래소에서의 상장 및 폐지 여부는 해당 암호화폐의 실제 거래량과 시장 내 영향력을 보다 정확하게 보여줍니다.
거래소 | 상장시기 | 상장폐지 시기 |
---|---|---|
업비트 | 2025/06/15 | – |
빗썸 | 상장됨 | – |
코인베이스 | 상장됨 | – |
크라켄 | 상장됨 | – |
바이낸스 | 상장됨 | – |
바이비트 | 상장됨 | – |
비트겟 | 상장됨 | – |
OKX | 상장됨 | – |
렌더토큰 (RENDER) 주요 이슈
렌더토큰의 출시 이후 현재까지의 주요 이슈를 정리하였습니다.
이러한 이슈들을 살펴보면, 암호화폐 가격의 흐름이나 프로젝트의 안정성과 성장 가능성을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연도별 주요 이슈 요약
연도 | 주요이슈 |
---|---|
2017 | – 08월: OTOY 소속 줄스 어바치(Jules Urbach)가 Render Network 구상 발표 – 10월: 공개 토큰 세일 (ERC‑20 RNDR) 개시 – 2018년 1~5월: 비공개 세일 및 베타 테스트 실시 |
2019 | – 02월: RNDR 토큰 계약 재설정, 총 공급량 축소 – 06월: 프라이빗 제네시스 메인넷 론칭, Octane Render Cloud와 통합 |
2020 | – 04월 27일: 퍼블릭 메인넷 정식 출시, 누구나 서비스 이용 가능 |
2021 | – 03월: ERC‑20 RNDR → Polygon 브리지 구축 – 11월: Solana 론칭 계획 발표 |
2022 | – 07월: Render Improvement Proposal(RNP) 시스템 도입 |
2023 | – 01월: Render Network Foundation 설립, 거버넌스 및 생태계 지원 조직 출범 – 11월 2일: Solana 기반 RENDER 토큰 및 네트워크 정식 이관 – 12월: Burn‑Mint Equilibrium(BME) 모델 도입, SPL 기반 결제 및 노드 인센티브 구조 확립 |
2024 | – 06월: Q1 기준 프레임 렌더링량 +17.7%, 토큰 사용량 +60% 성장 – 06월: Cinema 4D Wizard, Blender Cycles 지원 등 주요 툴 통합 – 상반기: Dropbox 연동 & Redshift 통합 베타, 자동 결제 시스템 완성 |
2025 | – 04월: RNP‑019 통과 → AI·일반 컴퓨트용 Render Compute Network 구축 시작 – 05월: Blender Cycles 공식 지원 개시, Octane 2025.1 & Cinema4D 2025.2.1 등 업데이트 – 06월: 네트워크 업그레이드 및 AI 연구기관과의 파트너십 체결, 기업용 컴퓨트 계약 확대 |
연도별 주요 이슈 구체적 설명
2017년: 시작과 토큰 출시
2017년 8월, OTOY의 CEO 줄스 어바치는 분산형 GPU 렌더링 플랫폼인 Render Network 구상을 발표했습니다. 같은 해 10월 ERC‑20 RNDR 토큰의 공개 세일이 진행되었고, 이어 2018년 초부터 5월까지 베타 노드 운영자 및 아티스트가 참여한 비공개 세일과 테스트넷을 통해 네트워크 초기 구조를 다졌습니다.
2019년: 메인넷 구축과 생태계 통합
2019년 2월에는 토큰 최대 공급량을 약 2.15 억 개에서 5.36 억 개로 줄이며 새 계약이 배포되었습니다. 6월에는 프라이빗 제네시스 메인넷이 출시되어 Octane Render Cloud와 연동되어 초기 렌더링 작업이 가능해졌습니다.
2020년: 퍼블릭 론칭
2020년 4월 27일에는 퍼블릭 메인넷이 공식적으로 출시되어 모든 사용자가 Render Network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분산 렌더링 서비스가 본격 가동되었습니다.
2021년: 다중 체인 확장
2021년 3월, 가스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ETH 기반 RNDR를 Polygon으로 브리징했고, 11월에는 Solana 기반 네트워크 론칭 계획이 발표되어 확장 가능성과 효율성을 강화하였습니다.
2022년: 거버넌스 모델 도입
2022년 7월 RNP(Render Improvement Proposal) 시스템을 도입해 커뮤니티 참여 거버넌스 환경을 마련했으며, 제안 기반으로 네트워크 업데이트가 가능해졌습니다.
2023년: 재단 설립과 Solana 마이그레이션
2023년 1월, Render Network Foundation이 설립되어 RNP를 통한 의사결정과 생태계 지원을 전담하게 되었습니다. 11월 2일에는 Solana 기반 RENDER 토큰으로 완전히 이관되었고, 12월에는 BME 구조를 통해 SPL 토큰으로 결제 체계를 정립하며 노드 운영자 인센티브 구조를 고도화했습니다.
2024년: 도구 통합과 네트워크 고도화
2024년 상반기에는 렌더링 처리량이 전년 대비 17.7% 증가하고, RNDR 토큰 사용량도 60% 상승하는 성장을 보였습니다. Cinema 4D 워크플로우 개선 도구(Wizard), Blender Cycles 공식 지원이 추가되었으며 Dropbox 저장, Redshift 베타 통합, 자동 결제 시스템 완성 등 실용성 중심의 개선이 이루어졌습니다.
2025년: AI·컴퓨트 네트워크 시작
2025년 4월에 통과된 RNP‑019를 통해 AI 추론 및 머신러닝 등 일반 GPU 컴퓨트 워크로드를 처리할 수 있는 Render Compute Network의 구축이 개시되었습니다. 5월부터는 Blender Cycles 완전 지원, Octane 2025.1 및 Cinema4D 2025.2.1 업데이트, 기업 대상 컴퓨트 계약 확대 등의 진전이 있었으며, 6월에는 AI 연구기관과의 파트너십과 네트워크 효율 향상을 위한 업그레이드가 연이어 발표되며 생태계가 고도화되고 있습니다.
렌더토큰 (RENDER) 분석
렌더토큰(RENDER) 정보
구분 | 내용 |
---|---|
암호화폐 명칭 | RENDER (렌더토큰) |
암호화폐 유형 | 토큰 (플랫폼 기반 자산) |
암호화폐 표준 | ERC-20, SPL (Solana 호환) |
네트워크 체인 | Ethereum, Solana |
기술기반 | 이더리움 및 솔라나 스마트컨트랙트 |
용도 | GPU 렌더링 결제, 노드 보상, 거버넌스 참여 등 |
특징 | 분산 GPU 렌더링 플랫폼 통화, 사용량 기반 소각, 거버넌스 기능, Burn-and-Mint 메커니즘 기반 |
렌더토큰이란?
렌더토큰(RENDER)이란 렌더 네트워크(Render Network)에서 사용되는 유틸리티 토큰으로, GPU 기반 분산 렌더링 서비스를 위한 결제 및 보상 수단입니다.
RENDER는 코인인가? 토큰인가?
RENDER는 기술적으로 플랫폼 기반에서 발행된 토큰입니다.
- RENDER는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발행된 ERC-20 유틸리티 토큰입니다.
- 이후 Solana 체인으로 이전되었으며, 자체 블록체인을 보유하지 않으므로 코인이 아닌 토큰입니다.
코인과 토큰의 차이점이 궁금하다면 [암호화폐, 코인, 토큰의 차이점]을 참고해보세요.
렌더토큰 주요 기능
렌더토큰(RENDER)은 렌더 네트워크 생태계에서 다음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 렌더링 결제 수단 : 콘텐츠 제작자가 GPU 자원을 임대하고, 이에 대해 RENDER로 지불합니다.
- 노드 보상 : GPU 자원을 제공하는 노드는 RENDER 토큰으로 보상받습니다.
- 거버넌스 기능 : 보유자는 플랫폼 정책 변경 등에 대한 투표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 소각 및 발행 메커니즘 : Burn-and-Mint 모델로 일부 토큰은 소각되며, 새로운 공급은 노드 인센티브로 발행됩니다.
- AI 및 메타버스 활용 : AI 훈련, 메타버스 콘텐츠 생성 등 다양한 응용 가능성이 있습니다.
렌더토큰 분배 비율
렌더토큰(RENDER)의 분배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분배 대상 | 비율 | 설명 |
---|---|---|
재단 및 개발팀 | 30% | 프로젝트 운영, 핵심 개발자 보상 |
노드 운영 보상 | 25% | GPU 제공자 보상용 토큰 풀 |
커뮤니티 인센티브 | 20% | 이용자 활성화 및 생태계 확장 |
초기 투자자 | 15% | 전략적 파트너 및 VC 참여분 |
기타 | 10% | 마케팅, 유동성 등 |
렌더 네트워크(Render Network) 분석
렌더 네트워크 (Render Network) 정보
구분 | 내용 |
---|---|
플랫폼 유형 | 탈중앙화 GPU 컴퓨팅 플랫폼 |
블록체인 네트워크 | Solana (Layer 1), Ethereum (초기 기반) |
암호화폐 명칭 | RENDER (렌더 토큰) |
개발사 | OTOY Inc. |
설립자 | Jules Urbach |
설립 연도 | 2017년 |
본사 위치 | 미국 |
- 렌더 네트워크는 전 세계 유휴 GPU 자원을 분산 연결하여 3D 렌더링 및 AI 연산 작업을 지원하는 플랫폼입니다.
- 초기에는 Ethereum 기반으로 운영되었으나, 2023년 말 Solana로 인프라를 전환하여 RENDER 토큰이 도입되었습니다.
- 운영은 Render Network Foundation이 중심이 되며, 프로토콜 거버넌스는 탈중앙화된 방식으로 관리됩니다.
렌더 네트워크란?
렌더 네트워크(Render Network)는 고성능 그래픽 처리와 AI 연산을 위한 탈중앙화 GPU 컴퓨팅 플랫폼입니다. 이 플랫폼은 전통적인 중앙 서버 방식 대신, 전 세계의 유휴 GPU 자원을 활용하여 크리에이터 및 개발자에게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연산 환경을 제공합니다.
- 렌더 네트워크는 OTOY사의 OctaneRender 엔진과 통합되어 실시간 고품질 3D 렌더링 작업을 지원합니다.
- 유저는 복잡한 연산 작업을 요청하고, 참여자는 자신의 GPU를 제공함으로써 RENDER 토큰으로 보상을 받습니다.
- 작업 검증은 블록체인 기반의 Proof-of-Render 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지며, 결과물의 정당성과 무결성이 보장됩니다.
렌더 네트워크 주요 특징 : 탈중앙화와 확장성
렌더 네트워크는 콘텐츠 제작과 고성능 컴퓨팅 환경을 민주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주요 특징을 갖습니다.
GPU 자원의 탈중앙화 공유
렌더 네트워크는 전 세계 누구나 유휴 GPU를 등록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컴퓨팅 파워를 효율적으로 배분합니다.
- 개인은 자신의 장비를 통해 네트워크에 기여하고, 대가로 토큰을 획득할 수 있습니다.
- 작업 요청자는 저렴한 비용으로 고성능 GPU를 이용해 렌더링 및 AI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블록체인 기반 투명한 작업 검증
렌더 네트워크는 작업의 진위와 품질을 블록체인 상에서 검증하여 신뢰를 보장합니다.
- Proof-of-Render 기술을 통해 결과물의 검증이 자동으로 진행됩니다.
- 잘못된 작업은 보상을 받을 수 없기 때문에 고품질의 작업만 네트워크에 남습니다.
다양한 크리에이터 툴과 통합
렌더 네트워크는 다양한 3D 및 콘텐츠 제작 툴과 통합되어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 Cinema 4D, Blender, Houdini, Unreal Engine 등의 툴에서 직접 렌더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AI 워크로드, 모델 훈련 등에도 GPU 자원을 제공할 수 있어 활용 범위가 확장됩니다.
왜 렌더 네트워크가 중요한가?
- 고성능 GPU 수요가 급증하는 시대에, 유휴 자원을 활용해 연산 환경을 보다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제공합니다.
- 블록체인 기반 보상 구조로 노드 참여자와 작업 요청자 간 신뢰성과 공정성을 확보합니다.
- 콘텐츠 제작자와 AI 개발자에게 새로운 방식의 고성능 연산 인프라를 제공함으로써 창작과 기술 개발의 장벽을 낮춥니다.
Render Network 개발진 정보
설립자
설립자 | 이력 |
---|---|
Jules Urbach | – 1990년대 초: 프랑스 베르사유 근처에서 출생, 9세에 미국 LA로 이주 – 1990년대 중반: Harvard-Westlake 고등학교 재학 – 1990년대 후반: 하버드대학교 입학 허가를 받았으나, 게임 개발에 집중하기 위해 입학 연기 – 2000년대 초: 18세에 첫 번째 게임 ‘Hell Cab’ 개발 – 2000년대 중반: Groove Alliance 설립, Shockwave.com에 첫 3D 게임 ‘Real Pool’ 출시 – 2008년: OTOY 설립 – 2016년: Render Network 설립 – 현재: OTOY 및 Render Network의 CEO로 활동 중 |
고문
고문 | 이력 |
---|---|
Ari Emanuel | – 1995년: Endeavor 설립 – 2009년: Endeavor와 William Morris Agency의 합병으로 William Morris Endeavor(WME) 설립 – 2014년: IMG 인수 – 2016년: UFC 인수 – 현재: Endeavor CEO로 활동 중 |
J.J. Abrams | – 1998년: Bad Robot Productions 설립 – 2001년: 영화 ‘미션 임파서블 3’ 감독 – 2009년: ‘스타 트렉’ 리부트 감독 – 2015년: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 감독 – 현재: Bad Robot Productions의 회장 겸 CEO로 활동 중 |
Brendan Eich | – 1995년: JavaScript 개발 – 1998년: Mozilla 설립 – 2015년: Brave Software 설립 – 현재: Brave Software 및 Basic Attention Token(BAT)의 CEO로 활동 중 |
Mike Winkelmann (Beeple) | – 2007년: 디지털 아트 작업 시작 – 2018년: ‘Everydays: The First 5000 Days’ NFT로 경매에 출품 – 현재: 디지털 아티스트로 활동 중 |
Jennifer Zhu Scott | – 2010년대 초: Radian 설립 – 2018년: 세계경제포럼(WEF) 글로벌 미래이사회 회원으로 활동 시작 – 현재: Radian의 파트너이자 WEF 글로벌 미래이사회 회원으로 활동 중 |
Emad Mostaque | – 2020년: Stability AI 설립 – 현재: Stability AI의 CEO로 활동 중 |
Render Network 투자 유치 포트폴리오
Render Network는 약 4,724만 달러 규모의 투자 유치에 성공하였습니다.
Render Network 투자사 리스트는 아래 표와 같습니다.
투자사 | 설명 |
---|---|
Multicoin Capital | 리드 투자사로 2021년 전략적 라운드에서 참여. |
Solana Ventures | 솔라나 기반 생태계 확대를 위해 전략적 참여. |
Kenetic Capital | 아시아 기반 블록체인 및 디지털 자산 분야 벤처 자본. |
Sfermion | 벤처 투자자로 2021년 라운드에 참여. |
Alameda Research | 전략적 참여자로 2021년 라운드 포함. |
Vinny Lingham | 엔젤 투자자로 초기 단계부터 지원. |
Bill Lee | 엔젤 투자자로 초기 단계부터 참여. |
Solana Foundation | 솔라나 생태계 지원을 위한 벤처 자금 제공. |
Render Network Foundation | 프로토콜 개발과 생태계 성장을 위한 비영리 펀드. |
OTOY, Inc. | 모회사로 RENDER 기반 기술 개발 및 지원 제공. |
Private Round Investors | 2018년 프라이빗 세일 참여 투자자들. |
렌더 커뮤니티 채널
렌더의 공식 커뮤니티와 소셜미디어 모든 채널들을 정리하였습니다.
각 채널을 통해 최신 소식과 프로젝트의 개발 현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업데이트 소식, 커뮤니티 이벤트 등 다양한 정보를 확인해보세요.
- 아래 커뮤니티에서 장기간 업데이트 사항이 없다면, 현재 개발 현황을 의심해볼수 있습니다.
- 또한, 아래 링크가 열리지 않는다면, 원래 존재하던 채널이 삭제된 것입니다. 이 역시 개발 현황에 대한 의문을 가질 수 있는 부분입니다.
공식 사이트
구분 | 접속 링크 |
---|---|
공식 웹사이트 | 바로가기 |
SNS (소셜 미디어) 채널
구분 | 접속 링크 |
---|---|
X (구 트위터) | 바로가기 |
텔레그램 (Telegram) | 바로가기 |
디스코드 (Discord) | 바로가기 |
콘텐츠 미디어 채널
구분 | 접속 링크 |
---|---|
유튜브 (YouTube) | – |
미디엄 (Medium) | 바로가기 |
인스타그램 (Instagram) | 바로가기 |
렌더토큰 (RENDER) 참고사항
이 글은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어떠한 투자 권유나 금융 자문에 해당하지 않으며, 투자에 대한 최종 결정과 책임은 전적으로 본인에게 있습니다.
비트세이브(bitsave.co.kr)에서는 렌더토큰(RENDER)을 포함한 여러 암호화폐의 분석 정보를 제공합니다. 또한, 각 암호화폐 거래소 이용 가이드, 수수료 할인 혜택 정보, 레퍼럴 코드도 함께 제공하니, 꼭 참고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