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레스티아 코인 (TIA) 분석 – 개념, 시세, 거래소, 주요이슈

셀레스티아 코인 (TIA) 분석하였습니다. TIA 개념, 시세 차트, 거래가능한 거래소 뿐만 아니라 셀레스티아 코인의 연도별 주요 이슈까지 모두 알아보겠습니다.

셀레스티아 코인 (TIA) 시세 차트

시가총액

셀레스티아 코인 (TIA) 시가총액 및 순위는 실시간 반영됩니다.

항목 내용
시가총액 $1,107,504,096
시총 순위 87위

 

바이낸스 차트

셀레스트리아 코인(TIA)은 바이낸스에 상장되어 있으며, TIA/USDT 차트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업비트 차트

셀레스트리아 코인(TIA)은 업비트에 상장되어 있으며, TIA/KRW 차트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셀레스티아 코인 (TIA) 거래소

셀레스티아 코인 거래소

셀레스티아 코인 (TIA)을 거래 가능한 거래소 리스트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고 있습니다.

  • KRW 또는 USDT로 가능한 거래소들만 나열하였습니다.
  • 거래량이 많은 거래소부터 순서대로 TOP 20까지 정리했습니다.
거래소 거래 마켓 거래 링크
Gate TIA/USDT 이동
BinanceBinance TIA/USDT 이동
Coinstore TIA/USDT 이동
MEXC TIA/USDT 이동
LBank TIA/USDT 이동
FameEX TIA/USDT 이동
BTSE TIA/USDT 이동
CoinW TIA/USDT 이동
BitgetBitget TIA/USDT 이동
HTXHTX TIA/USDT 이동
BybitBybit TIA/USDT 이동
OKXOKX TIA/USDT 이동
WhiteBIT TIA/USDT 이동
UpbitUpbit TIA/KRW 이동
BitMart TIA/USDT 이동
OrangeX TIA/USDT 이동
BVOX TIA/USDT 이동
Ourbit TIA/USDT 이동
BitKan TIA/USDT 이동
BTCC TIA/USDT 이동

 

거래소 상장/상폐 이력

셀레스티아 코인 (TIA)의 상장 및 상장 폐지 시기를 아래 표에 정리했습니다.

  • 거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많은 이용자들이 신뢰하는 한국 및 글로벌 주요 거래소를 기준으로 정리하였습니다.
  • 이들 거래소에서의 상장 및 폐지 여부는 해당 암호화폐의 실제 거래량과 시장 내 영향력을 보다 정확하게 보여줍니다.
거래소 상장시기 상장폐지 시기
업비트 2025/05/08
빗썸 2023/10/31
코인베이스 2023/11/01
크라켄
바이낸스 2023/10/31
바이비트 2023/10/31
비트겟
OKX 2025/04/08

셀레스티아 코인 (TIA) 주요 이슈

셀레스티아 코인의 출시 이후 현재까지의 주요 이슈를 정리하였습니다.

이러한 이슈들을 살펴보면, 암호화폐 가격의 흐름이나 프로젝트의 안정성과 성장 가능성을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연도별 주요 이슈 요약

연도 주요이슈
2019 – Mustafa Al‑Bassam의 LazyLedger 백서 발표로 아이디어 착수
– 공동창업자 Ismail Khoffi, John Adler 합류
– Celestia 프로젝트 명칭 채택 및 초기 팀 구성
2022 – 10월: 시리즈 A·B 펀딩 라운드 진행, 총 5,500만 달러 조달 (Bain Capital Crypto 등 참여)
2023 – 03월: 인센티브형 테스트넷 출시
– 10/31: 메인넷 정식 출시 및 TIA 토큰 에어드롭 (~6%, 6천만 TIA)
– 12월: Polygon CDK 및 Optimism, Arbitrum Orbit 통합 파트너십 발표
2024 – 02월: Arbitrum Orbit 프로토콜에 외부 프로젝트로 최초 기여
– 04월: Converge, Arbitrum 기반 체인에 Celestia 데이터 가용성 적용 발표
2024 – 10·11월: 메인넷 v1 릴리즈 및 주요 업그레이드 진행
2025 – 04월: 128MB 블록 지원 mamo‑1 테스트넷 출시
– 05월: Lotus 업그레이드 발표 – Hyperlane 통합, TIA 인플레이션 33% 감축
– 06월: Core v1.55 릴리즈 및 Hibachi DEX ‘Win’ 업그레이드, XBANKING 22% 스테이킹 프로그램 출시

 

연도별 주요 이슈 구체적 설명

2019년: 개념에서 팀 구성까지

Mustafa Al‑Bassam이 2019년 LazyLedger 백서를 발표하며 Celestia의 토대가 마련되었습니다. 이후 블록체인 데이터 가용성에 집중하는 이 아이디어를 실현하기 위해 공동창업자 Ismail Khoffi와 John Adler가 합류했고, 이를 바탕으로 ‘Celestia’라는 프로젝트명이 확립되었습니다. 이 시기는 개념 설계와 초석을 다진 단계였습니다.

2022년: 대규모 자금 유치

2022년 10월에는 시리즈 A·B 라운드를 통해 총 5,500만 달러를 조달했습니다. 이 라운드에는 Bain Capital Crypto, Polychain Capital, Coinbase Ventures, Jump Crypto 등 주요 투자자들이 참여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Celestia 개발에 속도를 내게 되었습니다.

2023년: 테스트넷과 메인넷 론칭

2023년 3월, Celestia는 인센티브형 테스트넷을 공개하며 커뮤니티 참여를 유도했습니다. 이어서 10월 31일에는 메인넷을 공식 출시하면서 TIA 토큰의 에어드롭을 진행했습니다. 60만 명 이상의 참여자에게 전체 공급량의 약 6%인 6천만 TIA가 지급되었으며, Polygon CDK, Optimism, Arbitrum Orbit과의 연이은 통합 발표로 생태계 확장을 본격화했습니다.

2024년: 모듈러 생태계 확대

2024년 2월, Celestia는 Arbitrum Orbit 프로토콜에 최초 외부 프로젝트로 기여하며 모듈러 블록체인 생태계에서의 입지를 강화했습니다. 4월에는 Converge를 통해 Arbitrum 기반 체인에서 Celestia의 데이터 가용성 레이어 적용 계획을 공개하며 실제 활용 사례를 소개했습니다. 10~11월에도 메인넷의 v1 정식 릴리즈와 핵심 업그레이드가 진행되어 네트워크 안정성과 기능성을 높였습니다.

2025년: 기술 고도화와 생태계 강화

2025년 4월에는 128MB 블록을 실험적으로 지원하는 ‘mamo-1’ 테스트넷이 공개되어, 기존보다 16배 이상 향상된 처리량을 목표로 고성능 시스템을 검증했습니다. 5월 발표된 Lotus 업그레이드는 Hyperlane 모듈 통합을 통해 여러 체인 간 TIA 상호운용성을 지원하고, 인플레이션율을 기존 대비 33% 줄이는 혁신을 도입했습니다. 6월에는 Core v1.55 정식 릴리즈와 함께 Hibachi DEX의 Win 업그레이드(프라이버시 강화), XBANKING의 22% APR 스테이킹 프로그램 등 주요 생태계 활동도 적극 전개되었습니다.

셀레스티아 코인 (TIA) 분석

셀레스티아 코인(TIA) 정보

구분 내용
암호화폐 명칭 TIA (셀레스티아 코인)
암호화폐 유형 코인 (네이티브 자산)
암호화폐 표준 Cosmos SDK 기반 (IBC 호환)
네트워크 체인 Celestia Network (모듈형 블록체인 데이터 가용성 레이어)
기술기반 Tendermint BFT (Cosmos 생태계 합의 알고리즘)
용도 데이터 가용성 결제, 스테이킹, 거버넌스 참여 등
특징 모듈형 블록체인 아키텍처 지원,
데이터 가용성 레이어 제공, 롤업 확장성 지원, 블롭스트림 연동

 

셀레스티아 코인이란?

셀레스티아 코인(TIA)이란 셀레스티아 네트워크(Celestia Network)에서 사용되는 네이티브 유틸리티 코인으로, 모듈형 블록체인의 데이터 가용성 계층을 지원하는 핵심 자산입니다.

TIA는 코인인가? 토큰인가?

TIA는 셀레스티아 네트워크의 네이티브 자산으로서, 코인에 해당합니다.

  • TIA는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발행된 ERC-20 유틸리티 토큰입니다.
  • 자체 독립 블록체인이 아닌 플랫폼 상에서 발행된 자산이므로, 코인이 아닌 토큰에 해당합니다.

코인과 토큰의 차이점이 궁금하다면 [암호화폐, 코인, 토큰의 차이점]을 참고해보세요.

셀레스티아 코인 주요 기능

셀레스티아 코인(TIA)은 셀레스티아 네트워크 생태계에서 다음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 데이터 가용성 결제 수단 : 롤업 체인들이 셀레스티아에 데이터를 게시할 때 TIA를 수수료로 지불합니다.
  • 거버넌스 기능 : TIA 보유자는 네트워크 업그레이드, 프로토콜 변경 사항에 대해 투표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 스테이킹 및 보상 : TIA를 스테이킹하여 셀레스티아 네트워크의 검증자로 참여하고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네트워크 보안 강화 : 스테이킹 기반 합의 구조를 통해 네트워크의 안정성과 보안성을 유지합니다.
  • 모듈형 블록체인 생태계 지원 : 다양한 롤업 및 애플리케이션 체인들이 독립적으로 실행되면서도 데이터 레이어로 셀레스티아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셀레스티아 코인 분배 비율

셀레스티아 코인(TIA)의 분배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분배 대상 비율 설명
재단 및 팀 20% 핵심 팀 및 초기 개발자 지원
투자자 25% 프라이빗 및 시드 투자자 배정
커뮤니티 20% 에어드랍, 사용자 참여 보상 등
생태계 기금 30% 개발자 보조금, 인센티브 프로그램
예비금 5% 예비 운영 자금으로 확보

셀레스티아 네트워크(Celestia Network) 분석

셀레스티아 네트워크 (Celestia Network) 정보

구분 내용
블록체인 네트워크 Celestia Network (모듈형 블록체인)
기반: LazyLedger 개념
프로토콜/dApp/플랫폼 유형 데이터 가용성 & 합의 계층
암호화폐 명칭 TIA (네이티브 토큰)
개발사 Celestia Foundation
설립자 Mustafa Al‑Bassam, Ismail Khoffi, John Adler
설립 연도 2021년 (LazyLedger → Celestia로 재브랜딩)
본사 위치 비영리 Celestia Foundation
  • 모듈형 블록체인이란 합의, 실행, 데이터 가용성 기능을 분리하여 전문화된 역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를 말합니다. Celestia는 그 중 ‘데이터 가용성’과 ‘합의’에 집중합니다.
  • LazyLedger라는 2019년 백서에서 시작되어, 2021년 Celestia로 이름을 바꾸고 2023년 10월 31일 메인넷을 런칭하였습니다.

 

셀레스티아 네트워크란?

셀레스티아 네트워크(Celestia Network)는 모듈형 블록체인 설계의 선두 주자로, 합의와 데이터 가용성 제공에 특화된 레이어입니다. 거래 실행과 상태 변경은 별도 롤업이나 체인이 담당하며, Celestia는 이를 위한 “데이터 가용성 선언 공간(blobspace)”을 제공합니다.

  • 데이터 가용성 샘플링(DAS)을 통해 라이트 노드가 대용량 블록의 데이터 존재를 소량 추출만으로 검증할 수 있습니다.
  • 르이드-솔로몬 이레이저 코딩과 Namespaced Merkle Trees(NMT)를 채택하여 데이터 복원성과 효율적 검증을 지원합니다.
  • Celestia는 누구나 스마트 계약처럼 손쉽게 ‘자신만의 블록체인’을 배포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어떤 VM이든 플러그인 방식으로 운영할 수 있습니다.

 

셀레스티아 네트워크 주요 특징

모듈형 확장성

  • 합의와 데이터 가용성을 분리함으로써 시스템 전체가 더욱 높은 처리량과 확장성을 갖출 수 있습니다.
  • DAS는 라이트 노드가 단 몇 개의 샘플만으로도 블록 데이터 존재를 99% 신뢰수준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합니다.

탈중앙화 및 보안

  • COSMOS SDK 기반의 PoS 구조에서 TIA를 스테이킹하여 네트워크 보안과 분산 합의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 메인넷은 2023년 10월 31일 시작되었으며, Celestia는 Bain Capital Crypto, Coinbase Ventures, Jump Crypto 등으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았습니다.

생태계 및 상호운용성

  • Polygon CDK, Optimism Stack, Arbitrum Orbit 등 주요 레이어 2 롤업과의 연동이 이미 기술로 구현되었습니다.
  • 블록 크기를 현재 수 MB에서 향후 수백 MB, 1GB 이상으로 늘릴 계획이며, 이를 위한 퍼포먼스 개선 테스트넷(mamo‑1 등)을 운영 중입니다.

 

왜 셀레스티아 네트워크가 중요한가?

  • 모듈형 디자인은 거래 실행과 데이터 저장을 분리함으로써 각 계층이 전문화되어 전체 시스템 확장성과 효율성을 대폭 개선합니다.
  • DAS와 이레이저 코딩, NMT 기술 조합은 보안 손실 없이도 라이트 노드 운영을 가능케 하며, 스마트폰에서도 검증 참여가 가능해집니다.
  • TIA 토큰은 데이터 가용성 요금, 스테이킹 보상, 거버넌스 투표 등 다방면에 활용되며, 생태계 확장을

 

셀레스타 (TIA) 개발진 정보

설립자

설립자 이력
Mustafa Al‑Bassam – 2011년(16세): 해킹 그룹 LulzSec 핵심 멤버 활동 (별명 tflow)
– 2013년: 컴퓨터 오용죄로 처벌 (20개월 집행유예 및 320시간 봉사)
– 2014년: Privacy International 자원봉사 및 GCHQ 조사 연구 참여
– 2016년: King’s College London에서 컴퓨터 과학 학사 취득
– 2019년: Chainspace 공동 설립 (2019년 Facebook에 인수됨)
– 2020년: University College London에서 “Securely Scaling Blockchain Base Layers” 박사학위 취득
– 2019년~: LazyLedger 프로젝트 시작 (이후 Celestia로 리브랜딩)
– 현재: Celestia Labs 공동 설립자 겸 CEO
Ismail Khoffi – (년도 미상): Tendermint 및 Interchain Foundation 선임 엔지니어로 활동
– 2019년: LazyLedger/Celestia 공동 설립, 이후 Celestia Labs CTO
John Adler – (년도 미상): Optimistic Rollups 관련 기술 연구 개발
– 2019년: LazyLedger/Celestia 공동 설립
Nick White – (정보 제한적): Celestia 공동 설립자로 알려짐 (설립 전 배경 비공개)

셀레스티아 네트워크 투자 유치 포트폴리오

셀레스티아 네트워크는 약 1억 5천 500만 달러 규모의 투자 유치에 성공하였습니다.

셀레스티아 투자사 리스트는 아래 표와 같습니다.

투자사 설명
Bain Capital Crypto 2024년 9월 1억 달러 라운드를 주도한 글로벌 투자사.
Syncracy Capital 2024년 9월 라운드 참여 헤지펀드.
1kx 2024년 9월 라운드 참여 벤처캐피탈.
Robot Ventures 2024년 9월 라운드 참여 벤처캐피탈.
Placeholder 2024년 9월 라운드 참여 벤처캐피탈.
Polychain Capital 2022년 시리즈 A&B 라운드 참여 VC.
Blockchain Capital 2022년 시리즈 A&B 라운드 참여 VC.
Delphi Digital (Delphi Labs) 2022년 시리즈 A&B 라운드 참여 VC.
eGirl Capital 2022년 시리즈 A&B 라운드 참여 VC.
Jump Crypto 2022년 시리즈 A&B 라운드 참여 VC.
Coinbase Ventures 2022년 시리즈 A&B 라운드 참여 거래소 투자부서.
YZi Labs (전 Binance Labs) 2021년 시드라운드 주도, 바이낸스의 초기 투자 부문.
Interchain Foundation 2021년 시드라운드 참여 재단 기반 투자자.
Maven 11 Capital 2021년 시드라운드 참여 VC.
KR1 2021년 시드라운드 참여 VC.
Divergence Ventures 2021년 시드라운드 참여 VC.
P2P Capital 2021년 시드라운드 참여 VC.

셀레스티아 커뮤니티 채널

셀레스티아의 공식 커뮤니티와 소셜미디어 모든 채널들을 정리하였습니다.

각 채널을 통해 최신 소식과 프로젝트의 개발 현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업데이트 소식, 커뮤니티 이벤트 등 다양한 정보를 확인해보세요.

  • 아래 커뮤니티에서 장기간 업데이트 사항이 없다면, 현재 개발 현황을 의심해볼수 있습니다.
  • 또한, 아래 링크가 열리지 않는다면, 원래 존재하던 채널이 삭제된 것입니다. 이 역시 개발 현황에 대한 의문을 가질 수 있는 부분입니다.

공식 사이트

구분 접속 링크
공식 웹사이트 바로가기

 

SNS (소셜 미디어) 채널

구분 접속 링크
X (구 트위터) 바로가기
디스코드 (Discord)
텔레그램 (Telegram)

 

콘텐츠 미디어 채널

구분 접속 링크
유튜브 (YouTube)
미디엄 (Medium)

셀레스티아 코인 (TIA) 참고사항

비트세이브

이 글은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어떠한 투자 권유나 금융 자문에 해당하지 않으며, 투자에 대한 최종 결정과 책임은 전적으로 본인에게 있습니다.

비트세이브(bitsave.co.kr)에서는 셀레스티아 코인(TIA)을 포함한 여러 암호화폐의 분석 정보를 제공합니다. 또한, 각 암호화폐 거래소 이용 가이드, 수수료 할인 혜택 정보, 레퍼럴 코드도 함께 제공하니, 꼭 참고해보세요.